학술논문
갈등의 문학교육적 의의
이용수 463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conflict in Litera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혜련(Hye-rye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51집, 5~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허구적 서사를 구성하는 미학적 장치 중 하나인 갈등이 문학교육적 관점에서 어떠한 교육적 의의를 지니는가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갈등은 문학 작품의 중요한 요소이자 문학 이론의 내용이다. 그러나 교과교육학의 관점에서 문학 지식으로서 갈등의 위상이 문학교육에서도 그대로 수용되거나 인정되는 것은 곤란하다. 갈등이 문학교육의 지식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학문적, 교육적 적합성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갈등이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검토하여 넓은 의미에서 갈등의 교수학적 변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허구적 서사에서 갈등에 대한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현실 독자로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조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 과정을 통해 ‘더 원대한 자기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갈등의 문학교육적 의의를 재인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nflict as aesthetic tool composing fictional prose in terms of cultural and educational viewpoint in traditional poetry. Conflict is a key literary factor which should be understood necessarily in order to understand prose and contents of literary theory. However, it is troublesome the meaning of conflict is possible to be accepted in itself since conflict is important in literary knowledge. To select conflict as cultural and educational details, suitability of literature and education should be arrang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 books which are relevant to teaching conversion media and considers the educational reflection aspect. In short, it makes learners reflect their own lives and review them based 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conflict in fictional prose and through this course, reach ‘Further Self-Understanding’ which is pretty required.
목차
국문초록
Ⅰ. 갈등에 대한 문제 제기
Ⅱ. 갈등에 대한 이론적 접근 검토
Ⅲ. 갈등의 교수학적 변환 양상
Ⅳ. 갈등의 문학교육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