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lementary Reading Textbook's Unit Analysis and Read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수자(Park, Soo-jah)
- 간행물 정보
- 『어문학교육』어문학교육 제42집, 127~1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view reading textbook's unit structure from 5th curriculum to 2007 revised curriculum, and discuss on the meanings for better reading instructions.
Textbook's unit structure directly influences on reading lesson design, so unit structure should be analyzed before syllabus designing. Through last curriculum periods, textbook's unit structures were changed on several points,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principle-application' lesson, which is based on a maximizing readers' rehearsal activity effects.
But unit structure' functions became to be unstable in 7th curriculum, because of unit size. 7th curriculum pursued to students' level lesson, then new unit form, like a 'basic lessonevaluation-supplementary/deepen lesson' pattern, was chosen. That was not appropriate for students' strategy rehearsals, esp. because of large size and insufficiency times. That problems occur same to 2007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knowledge lessons' importance of text form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better teachers should be review reading textbooks' unit, then design reading instructions, based on reading strategy lessons for better reading activities.
목차
1. 도입
2. 읽기 수업 관점이 반영된 읽기 교과서
3. 읽기 교과서 체제와 읽기 수업의 관계
4. 교수 환경 변화와 읽기 수업의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