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structional method of studying underachieving student from national language subject -Based on a reading and a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임천택(Im, Cheon-taek)
- 간행물 정보
- 『어문학교육』어문학교육 제42집, 205~24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searched instructional method of studying underachieving student from the reading and writing.
First, observed concept, a cause and a quality of studying underachieving from the reading and writing. After like that, proposed instructional principle. It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principle of leadership movement, principle of repeating and deepening, and the clear feedback.
Instructional method of studying underachieving student divided on a large scale at three category and tried to observe. The knowledge focus instruction, skill focus instruction, performance focus instruction are those. At each category, were presented a instruction strategy and a instruction model with sample. Knowledge quest studying model with knowledge focus instruction model, direct instruction model with skill focus instruction model, and problem solving studying model with in performance focus instruction model were presented. These instruction models are only samples. Therefore like this models reconstitutes and must be applied variously in education field, reflecting a demand and a quality of studying underachieving student.
목차
Ⅰ. 머리말
Ⅱ. 국어과 학습 부진아의 원인과 특성
Ⅲ. 읽기와 쓰기 학습 부진아 지도 원리
Ⅳ. 국어과 학습 부진아 지도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