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사의 수업활동 그리고 학업성취와의 관계 분석
이용수 789
-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곽수란(Sulan Kwaug) 이기종(Kijong R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29집, 35~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 요인은 내재적동기, 도구통제동기, 인지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 그리고 학습양식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의 학습은 교사의 수업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을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인으로 투입하였다. 분석방법은 교사의 수업활동과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변인이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횡단 및 종단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설문에 응답한 5,822명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TATA와 LISREL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e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nsisted of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control motivation, cognitive regulated strategies, action regulated strategies, and learning method. Since teachers' teaching has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tudents' learning, teachers' teaching factors were input as an exogenous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students' learning. While practic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gression analysis, We identified the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teachers' teaching an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It was path analysis through SEM that identified the causes and effects between variables. The data for this analysis was panel data that consisted of 5822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programs for it were STATA and LISREL.
목차
I. 서 론
II. 수업,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
III. 연구방법
IV.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