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의 인사연계 모형 탐색
이용수 170
- 영문명
- Explor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teacher evaluation for the teacher performance rating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지혜(Ji-Hye Park) 최재광(Jaekwang Choi) 최치수(Chisoo Choi)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29집, 103~12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인사에 연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모형들을 검토하고 그 모형들을 통해 도출된 평가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인사연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현재 선도학교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가 기존 교원 근무성적평정의 다면평가를 대
체할 때 기존의 평정 결과와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가 나타는지를 2007년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근무성적평정 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교원능력개발평가 등수는 다면평가 등수, 상급자평가 등수, 전체 근무성적평정 등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등수차 분석은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를 등수로 환산한 후 상대점수를 부여하여 20%, 30%, 40%
로 변화하고 조정점수의 급간을 현행의 4.5점 중심으로 3점과 6점의 세 급간을 활용한 총9가지 모형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급간을 동일하게 주고 반영비율을 달리하는 것보다는같은 반영비율이라도 급간을 달리할 때, 평정결과의 차이가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즉,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근무성적평정 반영시 어떠한 점수급간을 선택하더라도 기존의 근무성
적평정 결과와 극단적으로 상충되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정책적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new teacher evaluation on the results of teacher performance ratings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teacher evaluation for teacher performance ratings instead of multi-source assessment by peers. To achieve the purposes, this study collected information about teacher performance ratings and the new teacher evaluation results of 2007 in December, 200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wly proposed teacher evaluation resul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lti-source assessment by peers, supervisor assessments, and teacher performance rating. In addition, it was indicated that the new teacher evalu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ults of teacher performance ratings when the new evaluation replaced the multi-source assessment by peers. Based on the results, a few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y were propos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