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명을 통해본 일상(日常)의 교육적 의미
이용수 126
- 영문명
- Educational Meaning of the Daily Life which leads Nammyu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채휘균(Chae, Hwei-Kyun)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41集, 473~4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education will boil from daily life and as doing desirably, Nammyung emphasized. This fact all people importantly from education, to think. But recognizes this problem the center of life and study of oneself and the case which indicates writes. Nammyung led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aily life from education. The life of the human being becomes more distant from daily life and when being absorbed in being external makes a valuable territory lose from life. When with the same interest of education becomes more distant from daily life of life, the education makes the meaning lose. When meaning the education is embodied from if human life, must have an educational interest in daily life. And works from the daily life which is repeated, meeting, association, dialogue and relationship, introspection etc. must become the interest territory of education, the education must devise is value from daily life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in order to be. Because the work which is ordinary, meeting from ordinary, with human relation and association dialogs, reflective etc. to compose a life. When the education excepts a daily life consequently, will not be able to give the value which is important in life. When saying conclusively, the education must escape from the fact that considers seriously a knowledge acquisition and a compensation. And the education must do to make a value the people experience rather from daily life. The resultant education will be able to accomplish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education which loses, daily life will be valuable and there is a possibility which to make feel will do. With being like that, education could be reconciled with the people.
목차
Ⅰ. 시작하는 글: 교육에서 제외된 일상
Ⅱ. 남명이 인식한 일상의 중요성
Ⅲ. 남명의 삶에 나타난 일상
Ⅳ. 마치는 글: 교육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wey의 상상력에 따른 도덕적 학습자의 의미
- 학교교육에서 문화적 역량 모델링의 가능성 탐구
- 거울뉴런(Mirror Neuron)과 공감과 도덕교육
- 교육과정/교육현상의 구성을 위한 Ricoeur 이야기의 교육해석학
- 타오싱즈(陶行知) 실용주의교육을 통해 본 근대 중국의 계몽교육
- 듀이의 “질성적 전체” 개념에서 본 교과의 의미
- 임용시험 교육학 문제 분석을 통한 대학 교직과정에의 함의 탐색
- 가정교육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 불교의 가정 교육관과 실천에 관한 연구
- 남명을 통해본 일상(日常)의 교육적 의미
- 공화주의적 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 혜강의 대동론과 소통론 그리고 교육생태학
- “나를 넘어선다는 것”
- 탈현대적 가정교육을 위한 제언
-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본 교과학습과 사회화의 관련
- 전통태교의 현대 교육적 함의
- 밀암 이재의 교육사상
- 가정교육의 범주와 지향
-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지식론과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