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화주의적 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이용수 319
- 영문명
- A Study on Republican Civic Education : Focusing on Liberty as Non-Domination and Republican Citizenship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김상현(Kim, Sang-Hyeon) 김회용(Kim, Hoy-Y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41集, 207~24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day, characterized as Globalization and Pluralism, there are many solutions to overcome the problems that liberal democracy now faces to. The critics concerning the liberalism, which followed the revival of the political philosophy since 1970s, focus on the losing politics and the self-realization. The various theoretic spectrum such as Communitarianism, Multiculturalism, Post-modernity, politics of difference, and politics of identity has been accelerated as passing by 1980s. Especially the neo-liberalism, appearing in the failure of the welfare state, and the failure of idea of socialism also have made denationalization and depoliticization faster. I define this situation as the crisis of democracy. Therefore I suggest the modern Republicanism, as the concept to overcome the democratic crisis and to change isolated individuals into solidary people. Therefor, first, I will explain the republican tradition and investigate the legitimacy of theoretical succession. Second, I look into the conception of freedom in modern republicanism, focusing on Philip Pettit's Liberty as Non-domination. Especially the examination into the concept of the freedom of Benjamin Constant and Isaiah Berli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Third, viewing from the Republicanism, I will also examine the 'Citizenship' and 'Community'. Affirming the Citizenship is comprised of liberty and participation, I will discuss civic education from a position of Republicanism. As a conclusion, I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this article and summarized the whole argument and examined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republican civ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공화주의 전통과 현대적 부활
Ⅲ. 비지배로서의 자유와 공화주의적 시민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wey의 상상력에 따른 도덕적 학습자의 의미
- 학교교육에서 문화적 역량 모델링의 가능성 탐구
- 거울뉴런(Mirror Neuron)과 공감과 도덕교육
- 교육과정/교육현상의 구성을 위한 Ricoeur 이야기의 교육해석학
- 타오싱즈(陶行知) 실용주의교육을 통해 본 근대 중국의 계몽교육
- 듀이의 “질성적 전체” 개념에서 본 교과의 의미
- 임용시험 교육학 문제 분석을 통한 대학 교직과정에의 함의 탐색
- 가정교육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 불교의 가정 교육관과 실천에 관한 연구
- 남명을 통해본 일상(日常)의 교육적 의미
- 공화주의적 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 혜강의 대동론과 소통론 그리고 교육생태학
- “나를 넘어선다는 것”
- 탈현대적 가정교육을 위한 제언
-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본 교과학습과 사회화의 관련
- 전통태교의 현대 교육적 함의
- 밀암 이재의 교육사상
- 가정교육의 범주와 지향
-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지식론과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