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오싱즈(陶行知) 실용주의교육을 통해 본 근대 중국의 계몽교육
이용수 217
- 영문명
- On a Educational Thought of Tao Xingzhi in Modern Chin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이상옥(Lee, Sang-Ok)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41集, 379~4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aper aims to explain the educational thought of Tao Xingzhi(hereafter, ETTX) in modern China. The background of ETTX i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John Dewey who had established modern American educational philosophy. The contents include the core structure, important contents and methods to practice ETTX. The structure of ETTX would be the three basic concepts of ETTX as practice-minded, people centered and teach-and-learning-be-the-one principles. The contents would be the four elements as sincere knowledge, early personality education, the harmony between labor and spirit education, and the science and art education. The methods of ETTX would be the creative education, independent education, democratic education, child-would-be-the teacher, and the spread of education. In conclusion, I suggest three points that first, the ETTX would be understood as comprehensive human development, seco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TTX would have the tendencies of revolution of both human and society as the whole system, and third, the ETTX as the Chinese characterization of the education would be the avaliable concep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계몽과 실용-관련 이론 검토
Ⅲ. 타오싱즈 교육이론의 구조
Ⅳ. 생활 교육론-교육 내용
Ⅴ. 교육방법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wey의 상상력에 따른 도덕적 학습자의 의미
- 학교교육에서 문화적 역량 모델링의 가능성 탐구
- 거울뉴런(Mirror Neuron)과 공감과 도덕교육
- 교육과정/교육현상의 구성을 위한 Ricoeur 이야기의 교육해석학
- 타오싱즈(陶行知) 실용주의교육을 통해 본 근대 중국의 계몽교육
- 듀이의 “질성적 전체” 개념에서 본 교과의 의미
- 임용시험 교육학 문제 분석을 통한 대학 교직과정에의 함의 탐색
- 가정교육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 불교의 가정 교육관과 실천에 관한 연구
- 남명을 통해본 일상(日常)의 교육적 의미
- 공화주의적 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 혜강의 대동론과 소통론 그리고 교육생태학
- “나를 넘어선다는 것”
- 탈현대적 가정교육을 위한 제언
-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본 교과학습과 사회화의 관련
- 전통태교의 현대 교육적 함의
- 밀암 이재의 교육사상
- 가정교육의 범주와 지향
-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지식론과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