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iomechanical Measurement of Hyoid Excursion during the Swallow: A Pilot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영선(Youngsun Kim) 박영학(Younghak Park)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3권 제3호, 503~51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삼킴장애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삼킴장애 증상의 원인 을 찾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삼킴검사는 주로 침습과 흡인 등의 삼킴장애 증상 발견에 집 중되어 있다. 특히 삼킴장애의 주원인인 목뿔뼈 상승운동의 장애는 삼킴 시 목뿔뼈와 음식덩이가 서로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이 쉽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목뿔뼈 상승운동궤도의 관찰을 위한 단순화한 생체역학적 측정방법을 제안하고, 삼킴치료에 따른 목뿔뼈 상승운동궤도 변 화의 생체역학적 측정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혀기저암환자의 방사선치료 후 3개월과 1년 경과 후 비디오투시조영검사의 결과 자료 중에 묽은액체 삼킴(1, 3, 5 그리고 10ml)을 디지털화 하여 목뿔뼈 상승운동의 생체역학적 측정을 하였다. 목뿔뼈 상승운동의 두 가지 요소인 앞쪽운동 과 위쪽운동거리에 대해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한 측정방법을 소개하였다. 목뿔뼈 상승운동궤도 의 측정을 위하여 4곳의 목뿔뼈 위치 측정지점을 제시하였다. 결과: 두 추적검사 모두에서 환자는 지속적인 침습과 흡인을 보였다. 그러나 생체역학적 검사결과, 3개월보다 1년 추적검사에서 환자의 목뿔뼈 위쪽운동은 0.14cm정도의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목뿔뼈의 위쪽운동 향상을 통해 후두의 닫힘을 도와 기도보호의 기능이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목뿔뼈 상승운동궤도의 측정이 가능함을 알았고, 이 측정을 통해서 환자의 목뿔뼈 앞쪽-위쪽이동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삼킴의 생체역학적 측정은 삼킴장애를 겪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방법의 효 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삼킴장애의 올바른 이해를 도울 것이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Identification of swallowing impairments can help determine valid treatment strategies.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 is useful to judge misdirection of the bolus flow such as aspir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objective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impairments which may put the patients into the risk of aspi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biomechanical measurement of hyoid excursion in order to measure the physiological impairment during the swallow. A case study was presented to introduce the measurement of hyoid excursion. Methods: Vertical and anterior displacements of the hyoid bone were analyzed on 1, 3, 5 and 10ml thin liquids using an ImageJ program. Four points of hyoid excursion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trajectory of hyoid displacement. A patient with tongue-base cancer was examined at 3-month and 1-year follow-ups during post-radiation treatment. Results: The biomechanical measurements of hyoid excursion indicated a 0.14 cm improvement for vertical displacement in 1-year follow-up compared to 3-month. No improvement was observed for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hyoid. This result indicated that patient’s hyoid excursion got improved to protect the airway despite slow progress. Discussion &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biomechanical measurement of the radiographic swallowing examination to evaluate hyoid excursion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s of swallowing. This measurement will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ysphagia treatment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형 진단 프로토콜을 이용한 3~5세 한국 아동의 초기읽기 발달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문장읽기에서 통사 처리 특성
- 유창성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의 간투사 비교연구
- 삼킴 시 목뿔뼈 상승운동의 생체역학적 측정: 예비연구
- 실어증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특수교육과 관련된 치료서비스에 대한 질적연구
- 객관적 평가를 이용한 과대 난청 평가
- 이야기 평가 방법으로서의 구문복잡성(MLC-w)의 특성
- 성인 자유 발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의 음소 전이 빈도
- 구개열 아동과 일반 아동 및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