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문장읽기에서 통사 처리 특성

이용수  1,302

영문명
Syntactic Processing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of Poor Readers at Grades 4 to 6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황민아(Mina Hwa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3권 제3호, 397~41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읽기부진학생들의 통사처리 능력을 다룬 선행 연구들에 서는 주로 구어에 대한 문법검사를 이용하거나 메타통사적(metasyntactic) 과제에 대한 수행을 검 사함으로써 일상적으로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의 통사처리 특성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들이 문장을 읽고 이해할 때 통사처리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4~6학년 읽기부진학생 50명과 일반학생 52명을 대상으 로 구문 구조의 복잡성이 다른 두 유형의 문장(단순문장, 관형절 포함 복문)에 대한 문장-그림 확인 과제를 실시하였고, 이해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단순문장은 규범어순(Subject-Object- Verb: SOV, 이하 SOV)과 비규범어순(Object-Subject-Verb: OSV, 이하 OSV) 문장을 포함하였 고, 관형절문장은 주격관형절과 목적격관형절을 포함하였다. 결과: 이해정확도의 측면에서 읽기부 진학생은 관형절문장 뿐 아니라 단순문장 이해에 있어서도 일반학생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두 집단 학생들 모두 단순문장에서는 OSV문장보다 SOV문장을, 관형절문장의 경 우에는 목적격관형절문장보다 주격관형절문장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였다. 집단과 어순, 집단과 관 형절유형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해반응시간에 대한 자료분석 결과, 단순문장이해 검 사에서 어순과 집단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는데, 일반학생들만 SOV문장에 대한 반응시간이 OSV문장에 비해 유의미하게 빨랐고, 읽기부진학생들에게는 어순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 미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읽기부진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일반학생에 비하여 통사처리에 어려움 을 보였지만 어순이나 관형절유형에 따른 이해검사의 수행 양상은 일반학생과 유사하였던 본 연구 의 결과를 통해 이들이 일반학생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통사분석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단순문장에 대한 이해반응시간에서의 집단과 어순의 상호작용은 읽기부진학생들이 일반학생들 에 비하여 문장이해시 어순정보를 활용하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증거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Studies on syntactic skills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or poor readers focused on their metasyntactic skills or their subtest scores on grammar from standardized tests of spoken language, not on their syntactic processing during sentence read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yntactic processing of poor readers while they read and comprehended given sentences. Methods: A total of 102 elementary students (50 poor readers and 52 normal readers) at grades 4 to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performed two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using two types of sentences of different syntactic complexity (simple sentences of noun-noun-verb form and complex sentences containing a relative-clause). A half of simple sentences were of SOV order and the other were of OSV order. Complex sentences contained either a subject relative-clause or an object relative-clause. A sentencepicture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for both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and response times (RT) as well as response accuracies were measured. Results: The poor readers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than the normal readers in performing both simple-sentence and complex-sentence comprehension tasks. Both groups of students’ comprehension accuracies were greater for SOV sentences than for OSV sentences, and were greater for subject relative-clauses than for object relative-claus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volving group and sentence types were noted in accuracy measures of the two tasks. In the analysis of RT for simple sentence comprehens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word-order was noted. The normal readers were significantly faster in comprehending SOV sentences than in comprehending OSV sentences, while such RT difference across sentence types was not observed in the poor readers. Discussion & Conclusion: In general, the poor readers showed difficulties in syntactic processing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relative to their normal peers. However, they did not exhibit atypical patterns of syntactic processing as their performance patterns in two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ormal reader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word-order of simple sentences in the RT measures was interpreted as an evidence of the poor readers’ inefficiency in utilizing word-order and case-markers in analyzing the syntactic structures of sentence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민아(Mina Hwang). (2008).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문장읽기에서 통사 처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3 (3), 397-417

MLA

황민아(Mina Hwang).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문장읽기에서 통사 처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3.3(2008): 397-4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