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s of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mo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한진순(Jin Soon Han) 심현섭(Hyun Sub S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3권 제3호, 454~476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구 개열 아동이 기질적 문제가 없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 조음발달을 보이는 일반 아동에 비 해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령을 일치시킨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각 9명씩에게 8음절 문장 7개를 따라말하게 하여 녹음한 후 전체문장 및 문장 유형별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후 평정명료도 및 평정용인도 측정용 청취자료를 무선화하여 제작한 뒤 40명의 일반인 청취자로 하여금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이용하여 평정명료도와 평정용인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이후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세 집단의 차이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구개열 아 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를 보였으나, 구개열 아동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유형의 문장 에서는 다른 경향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조음수행 정도에서 크게 다르지 않은 아 동 집단들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서도 비슷한 평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목 표자음에 따라 자음정확도가 낮아도 말 명료도는 높을 수 있으며, 자음정확도가 제한되므로 말 용 인도는 자음정확도보다 더 낮게 평가될 수 있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derived from the speech of the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have effects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on the speech acceptability. For thi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of the CP children with those of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ree to six year olds age-matched 9 children with cleft palate, 9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9 normal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peakers.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8-syllable sentences. The judgment of the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 was made and then the PCC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fter listening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the 10 cm line of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the sentences in cleft palat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children in general. Discussion & Conclusion: Even though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the PCC, they are not the same measure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형 진단 프로토콜을 이용한 3~5세 한국 아동의 초기읽기 발달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문장읽기에서 통사 처리 특성
- 유창성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의 간투사 비교연구
- 삼킴 시 목뿔뼈 상승운동의 생체역학적 측정: 예비연구
- 실어증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특수교육과 관련된 치료서비스에 대한 질적연구
- 객관적 평가를 이용한 과대 난청 평가
- 이야기 평가 방법으로서의 구문복잡성(MLC-w)의 특성
- 성인 자유 발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의 음소 전이 빈도
- 구개열 아동과 일반 아동 및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