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위기관리분야에 시민단체(NGO) 참여 확산 방안 연구
이용수 123
- 영문명
- A Study on NGO's Active Participation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Affair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정찬권(Chan-Gw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3권 제2호, 38~55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화, 정보화 그리고 민주주의의 진전은 과거와 같이 국가의 일방적 지시와 통제, 의사결정을 하던 관행에 쐐기를 박음과 동시에 새로운 대안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정부-시민사회간의 협력을 기초로 형성된 거버넌스(governance)이다.따라서 국가정책 전반에 걸쳐 시민사회(NGO)의 참여와 영향력 증대는 국가위기관리분야도 예외가 될 수없게 되었다.따라서 본고에서는 국가위기관리분야에 NGO 참여환경을 첫째,법적·제도적측면, 둘째, 행정조직/체계측면, 셋째, 프로그램구축측면, 넷째, 공무원-NGO간 상호인식·태도측면,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측면 등 다섯개의 요소로 분석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차 국가위기관리분야에 NGO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먼저 법적·제도적 완비와 조직편성, 둘째, NGO-정부-민간기업간 네트워킹 및 교육프로그램마련, 셋째, 정부-NGO상호인식·태도 전환, 넷째, 미래 위기대비 사회문화적 인식정착 끝으로 GO참여확산 계획수립 및 단계화 추진등 여건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Democracy's progression changed to administrational environment from authoritative government to cooperative governance. Therefore, we should try to change a past one-sided policy of decision-making behaviour, culture and public servant's coercive and authoritative attitude. And we should establish partnership with NGO(Non-government organization).
Government-NGO's cooperative relation establishment will increase the synergy effect in National Crisis Management affairs. Accordingly, we can call for NGO's active participation condition in order to improve our business and adapt a new environment.
First, in order to attracted NGO's active participation in National Crisis Management, the related law need to amend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to establish the division(team) for coordination and connection with NGO in
government Third, to transfer from the bad perception or image to affirmative partner between public servant and NGOs. Fourth, to cancel absolutely undesirable past behaviour and culture. For example, closed organization
culture, path dependence and case by case business style etc. Lastly, We should be established NGO-government partnership planning and strongly steer to achieve our national security. If we will accomplish to above
of the conditions, our response ability for variable threats such as war, military conflict, terror, civil
strife, disaster, and any other equivalent incidents, should be more strength than pres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재해구호서비스 효율화 방안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국에서 자연재해 발생 전망
- 환경부의 화학사고 대응 현황 및 주요정책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역학적 특성과 국내 발생 동향
- 「한국위기관리논집」논문기고요령
- Emergency Relief System of Typhoon Disaster in China
- The Search for Collaborative Emergency Management
- 국가위기관리분야에 시민단체(NGO) 참여 확산 방안 연구
- 재난관리 예산의 배분 및 기금 활용의 효율화 방안
-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