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Search for Collaborative Emergency Management
이용수 3
- 영문명
- The Search for Collaborative Emergency Managemen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Tavida Kamolvej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3권 제2호, 105~11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public safety has gained recognition from governments of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Public safety includes howwell communities copewith extreme phenomena,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threats of manmade hazards, as well as how effectively emergency response agencies respond to such crises. The uncertainty and unexpected consequences of these extreme events create severe conditions such as large scale destruction of buildings, dramatic change in geography, destruction of communication and electrical infrastructure,
exacerbated by a lack of understanding of risks to which communities are exposed. Natural disastersmay create heavy damage across wide areas that require public agencies to work together nationally and locally to manage states of emergency. Such crises require a clear understanding of risks and skillfully coordinated operations to return the situation to normal. Under urgent constraints of time and threat to lif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are critical to enable multiple agencies to coordinate their actions simultaneously andmake timely informed decisions. In states of emergency, all participating response agencies need to work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s how emergency management policies are implemented in Thailand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separately and cooperatively, and w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rocesses are essential to emergencymanage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재해구호서비스 효율화 방안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국에서 자연재해 발생 전망
- 환경부의 화학사고 대응 현황 및 주요정책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역학적 특성과 국내 발생 동향
- 「한국위기관리논집」논문기고요령
- Emergency Relief System of Typhoon Disaster in China
- The Search for Collaborative Emergency Management
- 국가위기관리분야에 시민단체(NGO) 참여 확산 방안 연구
- 재난관리 예산의 배분 및 기금 활용의 효율화 방안
-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