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경부의 화학사고 대응 현황 및 주요정책
이용수 136
- 영문명
- Major Policies and Current Status of Ministry of Environment(MOE) for the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윤이(Yi Yoon) 양희선(Hee-Sun Yang) 박춘화(Choon-Hwa Park) 조문식(Mun-Sik Cho) 김성범(Sung-Bum Kim) 이문순(Moon-So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3권 제2호, 18~29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학물질 유통량 증가와 신규화학 물질의 지속적인 도입등으로 대형 화학사고 발생가능성이 증가되고 있고, 또한 유해화학물질을 이용한 화학테러에 대한 사회적인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화학물질은 제조, 사용, 폐기등 전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인체와 환경에 노출되어 영향을 미칠 수있다.특히 화학사고는 치명적 재난을 가져 올 잠재력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와 사고 발생시 신속·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간 환경부는 화학물질관리의 주체로서 화학물질사고를 사전 예방하고, 상시대응이 가능하도록 각종사업을 추진해왔다. 2004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개정을 통해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사고발생시 그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을 사고대비물질로 지정·관리하고 유해 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리기준을 강화하는 등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제도를 발전시켜왔으며,사고발생에 대비하여 대응조직을 정비하고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개발과 대응에 필요한 기술지원을 담당할 전담조직을 설치·운영중에 있다.
또한, 사고현장에서의 임무수행을 위해 개인보호 및 탐지·측정등의 대응장비를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소방·경찰·지자체 공무원등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화학물질마다 위험·유해성이 다르므로 방제요령,피해영향범위 등 종합적인 사고대응 정보를 실시간 현장대응기관에 제공하는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전국의 대응기관에서 사용하고 있고,잔류성 화학물질 사고의 경우,사고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여 사고지역을 관리하기 위한 사고 후 영향조사제도를 시행중에 있다. 또한,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의 이력관리와 실시간 사고를 모니터링 할 수있는 유해
화학물질 운송차량 관리시스템을 구축중에 있으며, 화학사고 출동차량확보, 사고대응기술 및 각종지침을 개발하여 사고현장대응능력을 개선하고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정보를 일반국민까지 확대제공할 예정이다.
영문 초록
Due to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chemical aterials and continuous introduction of new chemicals, the occurrence possibility of chemical accid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social caution on terrors using hazardous chemicals is growing heavier. Chemical accidents has possibility to cause fatal disaster, and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radically manage chemicals and to prepare for quick and correct countermeasures of chemical accident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proceeding various projects for the preliminary prevention and the ordinary response. 1) Through revision of the Toxic Chemical Control Act, it has been
developing various systems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including reinforcement of management standard of hazardous chemicals handling facilities and designation & management of Accident Precaution Chemical. 2) It has
promoted and expanded its organizations including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exclusive body which supplies technical supports that are necessary to develope policy and response system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3) It in stages expanded response equipments includ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s, detection and analysis instruments for better performance of on-site task. 4) It has been operating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early
response agents including fire fighter, police, local government civil servants, etc. 5) It established the Chemical Accidents Response Information System(CARIS) and various response organization are using the system. 6) It has been enforcing the "Accident Impact Assessments system" which predicts and impact of the
accident and through this manages the contaminated area.
In addition, the MOE will continuously proceed the following efforts: 1) the establishment of the Toxic Chemicals Transport Vehicle Management System which traces the course of toxic chemical transport vehicle and monitors the accident in real time, 2) the extention of information supply on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to civilian, 3) the modification of on-site response capacity through developing accident response technologies and various guidelines, and 4) the purchase of the Special Vehicle for Chemical Accid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재해구호서비스 효율화 방안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국에서 자연재해 발생 전망
- 환경부의 화학사고 대응 현황 및 주요정책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역학적 특성과 국내 발생 동향
- 「한국위기관리논집」논문기고요령
- Emergency Relief System of Typhoon Disaster in China
- The Search for Collaborative Emergency Management
- 국가위기관리분야에 시민단체(NGO) 참여 확산 방안 연구
- 재난관리 예산의 배분 및 기금 활용의 효율화 방안
-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