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이용수 126
- 영문명
- Creating the New Field of the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nd Its Operating Strategy: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Plan of the National Living Safety Cris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재은(Jae Eun Lee) 유현정(Hyun Jung Yoo)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3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국민생활 안전을 위협하는 위기를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으로 설정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국민생활안전위기의 영역을 분류하고 그 운영방안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이를위해 먼저, 국민생활안전 책임 주체(개인, 사회)와 국민생활안전 위기의발생 및 피해영향의 범위(협소범위, 중·광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국민생활 안전위기의 영역을 네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여기서는 국민생활안전 위기 영역의 비전으로‘국민의 일상생활에서의 안전한삶의 구현’을 설정하고‘국민생활안전관리체계의 선진화’를 목표로 삼았다. 이를위한 추진방향으로는 법제도 및 조직의 정비, 전문인력의 양성 및 예산배정의 제도화, 부처간 네트워크 구축, 국민생활 안전관리 매뉴얼의 구축 및 보급, 국민생활안전에 대한 국민의 안전문화 형성과 의식개선으로 두었다. 그리고 국민생활안전 정책의 추진 전략으로는 국민생활안전관리법의 제정, 국민 생활안전의 해 지정, 안전도시 대상제도 시행,국민생활 안전정보센터의 설립, 대국민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추진전략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국민생활안전의 세가지영역, 즉 식·의약품 안전영역, 교통 안전영역, 학교 안전영역 각각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has suggested the national living safety crisis as the new field of the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nd proposed its operating strategy. Because we, Korean people, have faced the various new types of crises increasingly, for example, harmful food and drug, dangerous traffic accidents, and lots of risks in the school. So, as the developed countries established the safety mechanisms for their people, we have to prevent and prepare for the living safety crisis and accidents. This article divided the national living safety crises into four types(type 1, 2, 3, 4) according to the two criteria; both the responsible subject for the safety(individual, society) and the scope of occurrence and damage(narrow scope, middle range & wide scope). This study proposed the realization of the safety in the usual life as a vision of the newly suggested national living safety sector and the advance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usual life as a strategic goal for achieving the vision. For our safe living conditions, the following directions are needed; improving the legal i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training the specialist, institutionalizing the safety budget, establishing the networks among the related organizations, distributing the safety management manual, and
forming the safety culture and consciousness, etc.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재해구호서비스 효율화 방안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국에서 자연재해 발생 전망
- 환경부의 화학사고 대응 현황 및 주요정책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역학적 특성과 국내 발생 동향
- 「한국위기관리논집」논문기고요령
- Emergency Relief System of Typhoon Disaster in China
- The Search for Collaborative Emergency Management
- 국가위기관리분야에 시민단체(NGO) 참여 확산 방안 연구
- 재난관리 예산의 배분 및 기금 활용의 효율화 방안
-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