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法宗 虛靜의 <瀟湘八景次韻>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Beopjong(法宗)'s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조태성(Jo Taeseo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9輯, 199~21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osangpalgyeong[瀟湘八景] as a theme of poet has been treated as a concern of the Confucian writer. However, I found that it was frequently borrowed as a poetical idea by Zen priest. Then, what Sosangpalgyeong meant to Zen pries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k this question. Namely, it was the process to solve questions about the views of the space having eyes on the completion of spiritual awakening in a Buddhist above an element of the mood of Zen. To solve these questions, I considered Beopjong(法宗, 1670~1733)'s in this article. As a consequence, I could find that his works recited the process of ascetic exercises for spiritual awakening, a desire arose from the process, and metal attitude after spiritual awakening. However, this study could have fundamental limitations because these kinds of poems have found rarely in a Buddhist. They were too little to study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works in the expansive aspect. In spite of tha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re were different points of views on Beopjong(法宗)'s and it is significant.

목차

1. 머리말
2. ‘瀟湘八景’의 수용과 작시의 전통
3. 法宗 所作 <瀟湘八景次韻>의 불교적 감성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태성(Jo Taeseong). (2009).法宗 虛靜의 <瀟湘八景次韻> 연구. 한국언어문학, 69 , 199-218

MLA

조태성(Jo Taeseong). "法宗 虛靜의 <瀟湘八景次韻> 연구." 한국언어문학, 69.(2009): 199-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