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주요 특징 고찰
이용수 205
- 영문명
- A considering distinctive features for elementary Korean textbook by revised 7th curriculum:focusing on 1st and 2nd grad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주섭(Lee Juseop)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9輯, 117~1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studied and classified distinctive features for elementary Korean textbook by revised 7thcurriculum into the aspect of composing text books and the aspect of curriculum to be detailed. In relation to whole composition of textbook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 by revised 7th curriculum are reduction of unit size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units. This is because elementary Korean textbook by revised 7th curriculum didn't reflect the part of learning by grades. This thesis classified distinctive features for elementary Korean textbook by revised 7th curriculum into seven parts. In connection with the composition of each unit, It also analyz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introduction learning, comprehension learning, completion learning, application learning, resting area and so on.
In relation to the aspect of curriculum to be detailed, It points out the confusion of establishing a goal which is caused because 'Practical' part of revised curriculum didn't coincide with the parts of 'essence', 'principle' and 'attitude'. 'Practical' part of revised curriculum is designed to correspond with other parts. So, making curriculum to be detailed is much easier to proceed in revised curriculum. In cases which have the confusing of revised curriculum's interpretation, this thesis presents flexible examples applied to the logic of textbook makers.
목차
1. 서론
2. 개정 교과서 단원 구성 측면의 특징
3. 교육과정 상세화 측면의 특징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휘보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이광수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계몽의식과 작가적 욕망의 문제
- 한국어 [요리]영역 동사 의미망 구축을 위한 연구
- 오태석의 희곡 연구
- 제주방언 ‘양’에 대한 통사·담화론적 고찰
- 1960년대 여성 평문(評文) 연구
- 한국 근대 농민의 문학적 재현과 수리복합체
- 월북 후 이용악 시의 서사지향성 연구
- 연작가사 『만언사』의 특징과 중인층 작가의 의미 지향
- 法宗 虛靜의 <瀟湘八景次韻> 연구
- 교육과정에 따른 문장의 다양성과 복잡성 추이
-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주요 특징 고찰
- ㅅ(>ㅿ)의 유지와 탈락
- 다산과 청대학자 전겸익의 문학사상 비교
- 카프 전후 소설의 어휘 사용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