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이용수 348
- 영문명
- The Main Contents and Suggestions of Special Needs Education in Japa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Kim, Jung Hee)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189~2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일본의 특별지원 교육의 의의와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 특수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일본의 특별지원교육은 장애가 있는 학생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위해 주체적인 대책을 지원한다는 관점에서 학생 개개인의 교육 수요를 파악하고, 생활과 학습에 어려움을 개선하거나 극복하기 위해 적절한 지도와 필요한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특별지원교육의 주요 내용과 특징은 특별한 교육수요에 부응하면서 개개인의 능력과 가능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는 차원에서 관련기관간의 유기적 협력, 장단기 정책의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면서 학생 개개인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의 특별지원교육으로서 그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plored the current situation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and tried to draw suggestions for us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and main contents of special needs education in Japan.
The special needs education is providing useful guidance and necessary support for revising and eliminating the difficulty of his/her life and learning after surveying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with a perspective that the education provides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with self-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special needs education tries to match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promote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s ability and possibility. For this, it cooperates with related institute significantly and collects various opinions about short and long policy. These processes give some suggestions that it is a special needs educa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al needs of the individual student.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현황
Ⅲ.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의의와 주요 내용
Ⅳ. 결론 및 시사점
초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대학교육과정의 확대와 정합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낙오학생방지법(NCLB) 시행 6년의 성과, 과제, 그리고 시사점
-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와 호주 VCE(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가 우리나라 대학입시성적 산출방식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미국 영리대학 운영실태 및 국내 진출 관련 쟁점 분석
-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 호주 초·중등교육 정규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 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고등교육 보편화의 두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