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육과정의 확대와 정합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용수 866
- 영문명
- Proliferation and Coherence in Colleges Curriculum centering around the History of American Hig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대석(Daeseok Kim) 홍후조(Hoo-Jo Hong)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111~1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370여년 미국 고등교육과정사를 살펴보면,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교과목은 꾸준히 추가․신설되었지만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삭제․폐지된 교과목은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변화에는 저항이 따르고, 기존의 교육과정을 유지하려는 움직임과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개선하려는 움직임은 대립과 갈등들을 피하기 위해 타협을 하면서 추가⋅신설만 하는 절충안을 채택하였다.
결과적으로 식민지시기에 비해 광범위한 교육과정이 두꺼운 대학요람 형식으로 나타났다. 유기적이지 못한(incoherent), 폭 넓은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은 흥미와 직업적 진로만을 좇아 쉬운 개론과목 위주로 수강하거나 일반선택을 전공선택으로 활용하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도 나타났다.
교육과정은 유기적(coherent)이어야 한다. 새로운 교과목의 추가와 신설은 광범위한 교육과정을 초래하여 정합성(coherence)을 상실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유기적이지 못한, 단절된 교육과정은 비효율적이며 유용하고 지속가능한 학습을 조성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교과목이 추가되어 광범위한 교육과정이 되더라도 정합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When we study the history of American higher education we will find that colleges have continued to open new courses in their curriculum. They have accepted the needs of the public, and added and accreted technical and vocational subjects to their classical curriculum.
The supporters who have taken a serious view of liberal education have made efforts to maintain traditional curriculum. The upholders who have attached much importance to the field of study and professional education, however, have done their best to change the curriculum to practical and vocational one. The conservatives have accounted liberal arts important as college subjects but the progressives have thought much of science. The curriculum has being changed from liberal arts-centered curriculum to vocationally and professionally oriented curriculum.
The small and narrow breadth of curriculum in the Colonial Era has changed to large and wide breadth of curriculum in the Contemporary Era. The current and broad curriculum, however, is not coherent.
Broad curriculum which does not have sequence and coherence is not likely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Incoherent collections of courses are not likely to produce sustained long-term learning. Curricular coherence means to the probability that students will encounter logical sequences of coursework leading to useful and long-lasting skills and insights about the world. A fragmented curriculum is less effective and efficient than a coherent one. Curriculum should be coherent.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고등교육의 시기별 대학교육과정의 확대와 정합성 고찰
Ⅲ. 요약 및 결론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대학교육과정의 확대와 정합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낙오학생방지법(NCLB) 시행 6년의 성과, 과제, 그리고 시사점
-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와 호주 VCE(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가 우리나라 대학입시성적 산출방식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미국 영리대학 운영실태 및 국내 진출 관련 쟁점 분석
-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 호주 초·중등교육 정규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 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고등교육 보편화의 두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