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이용수  1,185

영문명
A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Reflective Practitioner:focused on New York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조덕주(Jo Duk Joo)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131~16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제적인 강좌 안에서 반성적 실천인 양성이 어떻게 계획되고 실천되는지 살펴보고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반성적 실천인 양성을 주요 지향 방향으로 하고 있는 뉴욕주 규정 및 뉴욕대학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세 가지 관련 강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반성적 실천인 양성을 위한 선행 요건인 현장 경험의 강화, 현장 경험이 갖추어야 할 성격, 반성적 실천인의 실제 구현을 위한 목표 요소의 추출, 나에서 시작하여 우리 및 사회로 이어지는 내용 구조화, 구체적이고도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 학습 공동체의 형성, 이론을 토대로 한 실천과 실천을 토대로 한 이론이 적절히 융합된 구조화된 교수학습 계획 등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New York University, as a way to find some realistic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reflective practitioner.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1) registration of curricula in teacher education of New York State, 2) materials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NYU(Guide for university supervisors of student teachers etc.,) 3) syllabuses of 3 courses(Inquiries to teaching and learning I, Student teaching I·II, English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 4) interview records with staffs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This examination brings to m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reflective practitioner; 1) field experience should be emphasized as a basis of becoming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is field experience should be based on educational theories. 2)the objectives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and "inquiries of my identity as a teacher" which is emphasized in these courses could be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of the program. 3) content structure from "I" to "society" could be considered as a good example for the framework of the program. 4) among the various kind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se courses, journal writing method could be the most appropriate learning method, considering the contexts of field experience in Korea, 5)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in these courses could be the best way to form teacher community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뉴욕대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분석
Ⅳ. 종합 및 시사점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덕주(Jo Duk Joo). (2009).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비교교육연구, 19 (1), 131-165

MLA

조덕주(Jo Duk Joo). "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비교교육연구, 19.1(2009): 131-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