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낙오학생방지법(NCLB) 시행 6년의 성과, 과제, 그리고 시사점
이용수 1,452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formances, major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sixth year of NCLB implementation in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염철현(Chul Hyun YUM)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2년부터 6년 간 시행된 낙오학생방지법(NCLB)에 대한 성과, 과제, 그리고 시사점을 탐색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6년 간 NCLB의 시행으로 수학과 읽기 분야에서 전국적으로 학력 향상이 확인되었고, 계층별․인종별로 교육격차가 줄어드는 등 교육개혁 정책의 일부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났지만, 성과위주의 교육개혁을 추진하면서 교육의 목적과 수단이 전도되는 비교육적인 현상이 나타났고, 연방재원의 부족으로 교육주체 간에 갈등이 법정소송으로 비화되는 부적용도 드러났다. 특히 단위 학교에서 평가과목인 수학과 읽기 과목 위주의 교육과정을 파행적으로 운영하면서 목표지향의 교육정책에 대한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창의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전인교육을 중시하는 미국 교육 방식을 희생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다양한 교육개혁프로그램에 유익한 시사점을 부여하고 있다.
영문 초록
No Child Left Behind(NCLB) Act is a federal educational act established to narrow the educational gap between various races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ubl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NCLB, its implementation has been six years since 2002, have four-key principles; stronger accountability for results, unprecedented state and local flexibility and reduced red tape, focusing resources on proven educational methods, and enhanced choices for parents.
The evaluation of the sixth year of NCLB implementation reveals that the federal innovational program narrows the educational gap between various races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ublic education. The study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NAEP) also reveals that the points of Mathematics and Reading among all types of children, schools, and regions have remarkably risen.
Despite major performances of the sixth year of NCLB implementation, the enthusiastic educational innovation act faces various problems. First, the federal governme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xis of the educational innovation lost trust from states and teacher's union. Second, the performance-oriented methods of NCLB give rise to the dislocation of purpose and means of education. Third, the continuous success of NCLB depends on securing capacity of the educational funding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NCLB의 시행 경과
Ⅲ. NCLB 6년의 성과와 과제
Ⅳ. 결론 및 시사점
초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대학교육과정의 확대와 정합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낙오학생방지법(NCLB) 시행 6년의 성과, 과제, 그리고 시사점
-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와 호주 VCE(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가 우리나라 대학입시성적 산출방식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미국 영리대학 운영실태 및 국내 진출 관련 쟁점 분석
-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 호주 초·중등교육 정규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 반성적 실천 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고등교육 보편화의 두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