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grotesque hair-style in modern hair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윤지성(Ji Sung-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2권 제1호, 203~2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2.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of grotesque hair-style.
The grotesque originals form the formative arts. It emerges towards of a century or traditional period in most cases.
In particular, it was used as the expressive method of an indivisual"s inside and a satire on society through the work of artists in the Middle Age, the renaissance, the symbolism, the expressionism, the surrealism and the pop art, etc. In general, a art work is an important index form which is able to be guess the social stream and the value system of an era The fashion, Make-up, and hair-style as a part of the arts was also important as a visual measure to penetrate the main stream of an era.
The grotesque hair-style was combined with an image of non formality, no rationality, an absurdity and non reality. Motto which leads modem hair-style is somthing new and shocking.
The grotesque hair-style is represented as an extream beauty.
It will stan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future fashion and as a particualr style with the change and fluidity.
The grotesque originals form the formative arts. It emerges towards of a century or traditional period in most cases.
In particular, it was used as the expressive method of an indivisual"s inside and a satire on society through the work of artists in the Middle Age, the renaissance, the symbolism, the expressionism, the surrealism and the pop art, etc. In general, a art work is an important index form which is able to be guess the social stream and the value system of an era The fashion, Make-up, and hair-style as a part of the arts was also important as a visual measure to penetrate the main stream of an era.
The grotesque hair-style was combined with an image of non formality, no rationality, an absurdity and non reality. Motto which leads modem hair-style is somthing new and shocking.
The grotesque hair-style is represented as an extream beauty.
It will stan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future fashion and as a particualr style with the change and fluid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그로테스크의 이론적 고찰
Ⅲ. 현대 헤어에 반영된 그로테스크의 현상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그로테스크의 이론적 고찰
Ⅲ. 현대 헤어에 반영된 그로테스크의 현상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바디아트의 조형적인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 여성의 결발양식(結髮樣式)과 머리장식에 관한 연구
- 개화기이후 여성 Hair Style 형태변천에 관한 고찰
- 전문대학생의 취업에 관한 스트레스 강도에 관한 연구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신체정신적 건강 연구
- 립스틱 색채로 본 여성심리에 관한 연구
- 염색, 탈색 시술 사후 처리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여성의 체형에 따른 조형적 헤어 스타일
- 부산지역 여성들의 스트레스 실태조사
- 근육과 관절 운동을 이용한 바디 페인팅(body painting) 기법연구
- 노화와 항산화효소의 역할에 관한 고찰
- 한국 화장품의 성분과 용기 발달에 관한 연구
- 업스타일을 위한 기본 기술과 디자인 구성
-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그로테스적 특성
- 고대색조화장의 유형 및 기능
- 헤어스타일링 시술과정에 의한 모발 손상도
- Aroma therapy의 유효성과 그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 아로마 정유의 항균효과
- 익산지역 주민의 모발내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 펑크스타일(Punk style)에 관한 연구
- 현대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과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여대생을 중심으로
- 중국 인물화에 나타난 화장기법
- 학회소식 외
- 오뜨 꾸뛰르 패션과 메이크업 표현경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