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색조화장의 유형 및 기능

이용수  174

영문명
Make-up pattern and purpose of the ancient
발행기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저자명
박보영(Park Bo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2권 제1호, 155~16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2.0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study the make-up pattern and purpose of the anci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sic make-up actions of the East and the West women. Yeonji which decides the color of cheek was the mixture of Boon and the powder of Honghwa (a kind of red-colored flower or tree). Eye make up was developed to match up with the various and changing. Yeonji and Joosa (red sand) were used as lip make up. The major color of lip make up was red. In the ancient, there were various kinds of primal actions such as Base make up, Eye make up, Lip make up which were used in the purpose of ornament, amendment, body protection, and incant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보영(Park Bo Young). (2001).고대색조화장의 유형 및 기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 (1), 155-168

MLA

박보영(Park Bo Young). "고대색조화장의 유형 및 기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1(2001): 155-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