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Beauty Culture of the Chin-Han Period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보영(Park Bo-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5권 제2호, 183~19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beauty culture of the Chin-Han period in China. It seems that the Chin succeeded to Chu"s beauty culture. Also, we can think that the Chin is a transition period because the Han succeeded to the Chin"s beauty culture.
The Han developed the economic and cultural level, so the makeup and dress style multicolored. The Chin-Han was very popular the red style makeup of the compound powder and rouge, the Paljami, Wansanmi and Taemi type eyebrows. These modes succeeded to the Ming-Qing period. In general, the palace and the wealthy classes leaded beauty fashion in the Han period.
We concluded that the variety of beauty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stabilization and esthetic consciousness. Therefore, the Chin-Han period is the climax of the Chinese beauty culture in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The Han developed the economic and cultural level, so the makeup and dress style multicolored. The Chin-Han was very popular the red style makeup of the compound powder and rouge, the Paljami, Wansanmi and Taemi type eyebrows. These modes succeeded to the Ming-Qing period. In general, the palace and the wealthy classes leaded beauty fashion in the Han period.
We concluded that the variety of beauty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stabilization and esthetic consciousness. Therefore, the Chin-Han period is the climax of the Chinese beauty culture in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색조화장
Ⅲ. 머리양식
Ⅳ. 미용문화의 역사적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색조화장
Ⅲ. 머리양식
Ⅳ. 미용문화의 역사적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용인의 갈등관리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 뷰티션의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성
-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미용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20세기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성정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시술조건에 따른 퍼머넨트 웨이브의 형태 연구
- 미용종사자들의 식생활태도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산업의 관계적 특성이 신뢰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용서비스업을 중심으로
- 수입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모델이미지와 메이크업 특성에 관한 연구 - 2001년~2004년 2월까지 패션잡지를 중심으로
- 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화장품 천연소재 응용을 위한 생리활성 기능 검증
-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남성의 머리형태와 관모에 관한 연구
- 현대패션쇼 메이크업에 나타난 키치의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후반부터 2004년까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 한국 여성의 앞머리 변천에 관한 연구 -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 중국 진한(秦漢)시대 여성의 미용문화
- 미용실 고객의 모발관리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신체예술의 표현으로 본 뷰티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
- 아로마 향 재료인 오렌지에 대한 아나필락시의 억제효과
- 天然 抗酸化劑의 動向과 方向에 關한 硏究
- 학회소식 외
- 미용학과 학생들의 직업인식도
- 당뇨병 환자의 족부관리 사례 연구
- Antifungal activity of (-)- ent -arbusculin B on the dermatophytic fungu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