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tifungal activity of (-)- ent -arbusculin B on the dermatophytic fungu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이용수 47
- 영문명
- Antifungal activity of (-)- ent -arbusculin B on the dermatophytic fungu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명주(Kim Myung-Ju)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5권 제2호, 65~7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리활성에 근거하여 Hepatostolonophora paucistipula로부터 주생성물로서 (-) -ent-arbus culin B(1)를 분리하였다. 생리활성물질(1)은 두피곰팡이균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 ATCC 28185(2㎜ inhibition zone at 15 ㎍/disk)에 대하여 증식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Bioactivity directed isolation has led to the isolation of (-)-ent-arbusculin B (1) as the major active compound from Hepatostolonophora paucistipula. This compound (1) inhibited the growth of the dermatophytic fungu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ATCC 28185, (2 ㎜ inhibition zone at 15 ㎍/disk).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s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용인의 갈등관리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 뷰티션의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만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성
-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미용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20세기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성정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시술조건에 따른 퍼머넨트 웨이브의 형태 연구
- 미용종사자들의 식생활태도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산업의 관계적 특성이 신뢰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용서비스업을 중심으로
- 수입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모델이미지와 메이크업 특성에 관한 연구 - 2001년~2004년 2월까지 패션잡지를 중심으로
- 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화장품 천연소재 응용을 위한 생리활성 기능 검증
-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남성의 머리형태와 관모에 관한 연구
- 현대패션쇼 메이크업에 나타난 키치의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후반부터 2004년까지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 한국 여성의 앞머리 변천에 관한 연구 -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 중국 진한(秦漢)시대 여성의 미용문화
- 미용실 고객의 모발관리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신체예술의 표현으로 본 뷰티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
- 아로마 향 재료인 오렌지에 대한 아나필락시의 억제효과
- 天然 抗酸化劑의 動向과 方向에 關한 硏究
- 학회소식 외
- 미용학과 학생들의 직업인식도
- 당뇨병 환자의 족부관리 사례 연구
- Antifungal activity of (-)- ent -arbusculin B on the dermatophytic fungu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