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eobdong-shinmudae, Korean Theater Company in the 1930"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남석(Kim Nam-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43집, 169~19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about Heobdong-shinmudae. Heobdongshinmudae is a theatrical troupe that led Korean theatrical circles in the first half of 1930s. As yet, the study of Heobdong-shinmudae isn"t progressed. So Heobdong-shinmudae remains obscurity. This paper intend to examine Heobdong-shinmudae"s substance and feature. This study will be a groundwork of the restoration of Korean Play"s history.
목차
Ⅰ. 선행 연구 및 문제 제기
Ⅱ. 협동신무대의 공연과 배우
Ⅲ. 대중성과 함께 사회성을 추구한 협동신무대
참고문헌
〈Abstract〉
Ⅱ. 협동신무대의 공연과 배우
Ⅲ. 대중성과 함께 사회성을 추구한 협동신무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동강 문학의 탈근대성 연구
-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풍경에 대한 내면의식과 시적 양식의 모색 - 1930년대 오장환의 경우
- 김정한 소설의 묘사적 어휘 연구
- 근대의 성립과 연애의 발견 - 기생과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 한일 비교문학 연구
- ‘협동신무대(協同新舞臺)’ 연구 - 1932년 7월~9월 협동신무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 경판방각소설의 간기에 대한 연구
- 황석영 『심청』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해당향〉 연구 - 소설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 시적 담론의 다성성 연구
- 송흠 귀향의 반향과 송순 문학의 기반
- 조선후기 박물학적 취향과 김려의 한시
- 한국문학회 회칙 외
- 윤동주의 명상시와 걷기의 모티프 - 〈寒暖計〉를 중심으로
- 윤흥길 소설 《에미》의 모성신화 형성 연구
- 엄흥섭 단편소설에 나타난 지식인의 소멸 양상 연구 - 일제 말, 해방기 작품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