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ablishment of Modern Period and Finding of ‘Love’ -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Centered on Giseng and Girl Student -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류종렬(Riu Jong-Yeo) 남부진(Nam Bu-Jin) 이태숙(Lee Tae-Sook) 정혜영(Chung Hya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43집, 139~16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word “Yeon Ae”, which is a term denoting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was formed in Japan as a translation of the English, “Love”. It was imported into Korea around 1910s and came into use. Afterwards, in a social and political atmosphere of the 1920s like mass return of study-abroad generation and total introduction of modern civilization which took place alongside the “culture politics” just after the “3.1 Movement”, the “Yeon Ae” becomes a dominant social trend. The influence of “Yeon Ae” among the contemporary society can be easily amassed through a newspaper editors" opinion which mentioned that “the whole society has been caught by "Love pestilence" like an influenza epidemic.”
It can be said that in the influence of “Yeon Ae” among the society, the overall meanings “Yeon Ae” as a symbol of modern thought like the equality between genders played a decisive role. In other words, in the epidemic of “Yeon Ae” in Chosun, a strong desire of transitional Chosun for the modern world was acting as a motive together with the romantic longing for the love and the excited intoxication with the “Yeon Ae”as a new culture. Therefore, looking into the process by which Chosun accepted and formed “Yeon Ae” could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modern Chosun.
It can be said that in the influence of “Yeon Ae” among the society, the overall meanings “Yeon Ae” as a symbol of modern thought like the equality between genders played a decisive role. In other words, in the epidemic of “Yeon Ae” in Chosun, a strong desire of transitional Chosun for the modern world was acting as a motive together with the romantic longing for the love and the excited intoxication with the “Yeon Ae”as a new culture. Therefore, looking into the process by which Chosun accepted and formed “Yeon Ae” could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modern Chosun.
목차
Ⅰ. 서론
Ⅱ. 일본과 조선에서의 〈연애〉의 생성과정
Ⅲ. 명치시대 일본소설과 2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전개과정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일본과 조선에서의 〈연애〉의 생성과정
Ⅲ. 명치시대 일본소설과 2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전개과정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동강 문학의 탈근대성 연구
-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풍경에 대한 내면의식과 시적 양식의 모색 - 1930년대 오장환의 경우
- 김정한 소설의 묘사적 어휘 연구
- 근대의 성립과 연애의 발견 - 기생과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 한일 비교문학 연구
- ‘협동신무대(協同新舞臺)’ 연구 - 1932년 7월~9월 협동신무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 경판방각소설의 간기에 대한 연구
- 황석영 『심청』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해당향〉 연구 - 소설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 시적 담론의 다성성 연구
- 송흠 귀향의 반향과 송순 문학의 기반
- 조선후기 박물학적 취향과 김려의 한시
- 한국문학회 회칙 외
- 윤동주의 명상시와 걷기의 모티프 - 〈寒暖計〉를 중심으로
- 윤흥길 소설 《에미》의 모성신화 형성 연구
- 엄흥섭 단편소설에 나타난 지식인의 소멸 양상 연구 - 일제 말, 해방기 작품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