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rend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Kim-Ryo"s Chinese poetry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강혜선(Kang Hye-Su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43집, 37~6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illuminate the relatedness between the notable features of Kim-Ryo"s Chinese poetry and the trend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wrote a great variety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Kim-Ryo interested in this trend also wrote categorical explanations of fishes. That book"s name is Uhae-ieobo.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interesting. He recorded the ecology of fishes and the local customs in the Uhae-ieobo. While he was exiled in Buryong and Jinhae, he took interest in wide encyclopedic knowledge. Especially he had a vast stock of knowledge in the living necessaries. After he returned from the place of exile, he grew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his farm and garden. Manseonwainggo, the collection of poems is based on his actual experience of growing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addition he wrote the poems on the theme of the living necessaries. In this collection of poems, he wrote the poems in his own way which was annotated. Annotations of the poems have a strong resemblance to kinds of Mulbo, categorical explanations of things. Kim-Ryo"s poems are lyric and sensitive on the theme of his every day lives. He expresses vegetables and fruits which he had grow and eaten every day. He expresses flowers which he had grow and watched every day. He expresses living necessaries which he had used every day. These poems show the change of lyric poem under the influence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and practical science.
목차
Ⅰ. 서론
Ⅱ. 조선후기 박물학적 취향의 성행과 그 의미
Ⅲ. 「만선와잉고」의 박물학적, 실용적 취향과 시적 감수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조선후기 박물학적 취향의 성행과 그 의미
Ⅲ. 「만선와잉고」의 박물학적, 실용적 취향과 시적 감수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낙동강 문학의 탈근대성 연구
-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풍경에 대한 내면의식과 시적 양식의 모색 - 1930년대 오장환의 경우
- 김정한 소설의 묘사적 어휘 연구
- 근대의 성립과 연애의 발견 - 기생과 여학생을 중심으로 한 한일 비교문학 연구
- ‘협동신무대(協同新舞臺)’ 연구 - 1932년 7월~9월 협동신무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 경판방각소설의 간기에 대한 연구
- 황석영 『심청』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해당향〉 연구 - 소설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 시적 담론의 다성성 연구
- 송흠 귀향의 반향과 송순 문학의 기반
- 조선후기 박물학적 취향과 김려의 한시
- 한국문학회 회칙 외
- 윤동주의 명상시와 걷기의 모티프 - 〈寒暖計〉를 중심으로
- 윤흥길 소설 《에미》의 모성신화 형성 연구
- 엄흥섭 단편소설에 나타난 지식인의 소멸 양상 연구 - 일제 말, 해방기 작품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