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金丘庸 詩의 ‘몸’ 이미지와 불교 意識
이용수 47
- 영문명
- ‘Body' Images in Kim Gu Yong's Poems and Buddhist Consciousnes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민명자(Myung Ja Mi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7집, 259~28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look into the body images, which appeare in Kim Gu Young's poem. This mainly pays attention to that there are many signs on the body, and the body in Kim Gu Young's poems means the body that ultimately dreams for the condition of Buddhist in the present state. Therefore, the present state is a place for training, and a poem is situated as a media of its realization. For this reason, the relations between reality and poet, and between the poet and poem form a network of mutual reflection just like the net of Indra and move toward the internal order for the Buddhist truth.
In this process, the body is shown as a form of imprisonment, deformity, and Tantrism. The imprisonment has dual values such as oppression and creation. In other words, even though all the conditions of reality surrounding the poet works as an oppressive mechanism, the poet or the law of Buddha that he or she wants to be imprisoned works as a mechanism of creation. While the deformity represents the imperfection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human being, truth-represented deformity rather emphasizes perfection through the technique of paradoxical denial. The desire reaches the unity of Tantrism by being embedded as a form of eroticism.
In this manner, the body shown in Kim Gu Young's poems makes an incident by organically and mutually penetrating with a society, based the body on 'Karma‘. However, despite the various corresponding methods of the body, the concluding point to the Buddhist outlook functions as a limit to some extent, and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that are sometimes met by pieces in the reading of the poems can be a factor of profundity. Although the conclusion toward profundity and Buddhist outlook makes readers feel difficult to approach him, the justified position is possible when the whole research is completed.
목차
1. 머리말
2. 억압과 생성으로서의 囹圄性
3. 상호반영의 관계망, 不具性
4. 탄트리즘적인 욕망과 합일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어체 담화와 문어체 담화의 문법 현상 비교
- <浮雪傳>의 창작연원과 소설사적 의의
- 1960년대 『창작과 비평』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 백낙청의 초기비평을 중심으로-
- 乙巳本 <츈매젼>의 特徵 考察
- 황순원의 해방직후 소설 一考 ― <목넘이 마을의 개>를 중심으로 ―
- 부여 지역의 옛 말을 찾아서
- <華山奇逢>에 나타난 ‘殺害’ 主旨의 의미
- 신경림 시의 서사성과 대화주의
- 扶餘八景의 詩的 形象
- 寺刹文獻에 나타난 創寺緣起說話의 사상적 기저
- 『어문연구』논문 투고규정 외
- 한자어 어근 ‘童, 匠, 直’의 국어 접미사화 과정
- 古代 人名語素 ‘宗’의 새김에 대하여
- 金丘庸 詩의 ‘몸’ 이미지와 불교 意識
- 의주방언과 구개음화
- 90년대 소설의 여성 정체성 구현 考 ― 여성 소설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
- 1950년대 지역 신문에 나타난 여성 담론 양상 연구 ― 영남지역 신문소설의 ‘여성주체’개념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