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古代 人名語素 ‘宗’의 새김에 대하여
이용수 43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cient Meaning of ‘Zhong’[宗] in Persons' Name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박영섭(Yeong-seop Park) 김종학(Jong-hack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7집, 83~9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ncient meaning of Zhong[宗] in persons' names and to look into changes of their meanings. The meanings of meaning-borrowing used in place names, people names, and title names of ancient times are the proper word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reconstruct the ancient meaning and to understand its aspect of changes for the study about history of Korean language. On the studies of the correspondence ‘宗 : 夫’ in names mentioned in 「三麥宗或作深麥夫」, 「居柒夫或云荒宗」, 「異斯夫或云苔宗」, they have considered ‘夫’ as meaning-borrowing until now and read it as ‘마라’ which means ‘宗’ in middle Korean. This paper examines in the Ancient Korean data the examples of ‘*mVrV’ type which means ‘宗’ in ancient times and makes out the word form as ‘*pV’ assuming ‘夫’ is the sound-borrowing. In other words, we understand the coexistence of ‘*mVrV’ type and ‘*pV’ type in the ancient meaning of ‘宗’ in people names, and consider the meaning and changes of sound-borrowings ‘輔ㆍ福(/卜/伏)ㆍ巴’ which is used as different writings of ‘夫’ in the Ancient Korean writing by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목차
1. 緖論
2. ‘宗’과 ‘夫’의 對應
3. ‘宗’의 새김과 그 變遷
4.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어체 담화와 문어체 담화의 문법 현상 비교
- <浮雪傳>의 창작연원과 소설사적 의의
- 1960년대 『창작과 비평』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 백낙청의 초기비평을 중심으로-
- 乙巳本 <츈매젼>의 特徵 考察
- 황순원의 해방직후 소설 一考 ― <목넘이 마을의 개>를 중심으로 ―
- 부여 지역의 옛 말을 찾아서
- <華山奇逢>에 나타난 ‘殺害’ 主旨의 의미
- 신경림 시의 서사성과 대화주의
- 扶餘八景의 詩的 形象
- 寺刹文獻에 나타난 創寺緣起說話의 사상적 기저
- 『어문연구』논문 투고규정 외
- 한자어 어근 ‘童, 匠, 直’의 국어 접미사화 과정
- 古代 人名語素 ‘宗’의 새김에 대하여
- 金丘庸 詩의 ‘몸’ 이미지와 불교 意識
- 의주방언과 구개음화
- 90년대 소설의 여성 정체성 구현 考 ― 여성 소설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
- 1950년대 지역 신문에 나타난 여성 담론 양상 연구 ― 영남지역 신문소설의 ‘여성주체’개념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