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여 지역의 옛 말을 찾아서
이용수 51
- 영문명
- Looking for the Old Words in the Buyeo Area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도수희(Soo-hee Toh)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7집,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for the old words in Soburi--which is an old name of the current Buyeo area--and interpreting them in terms of lexical history. The old words of Soburi are divided into ones from the Baekje Dynasty and ones from afterward. Therefore,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Baekje language and also considers old words that are misunderstood as Baekje words.
Soburi words of the Baekje Dynasty presen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each word is included in parentheses in Chinese characters) Gadi(枝), Georeo, Gura/Gora(馬, 西), Godo(琴), Geogilji/Eoraha/Nirimeu(王), Gudeora>Gudara(大王), Goma(北, 後, 神, 熊), Godo(琴) Gudi(Name of Hawk), Nari(川), Nara(津), Dolak(石), Dal(珍, 等, 月, 高, 山), Magumo(name of musical instrument), Mabo(young student), Buri(原), Buso(松), Sama(島), So/Sa(東), Euryuk(王妃), Oraguan(王冠), Owii(道袍), etc,
The contemporary word, Nakhoaam(落花巖) is not a Baekje word, but came from the late period of the Goyeo Dynasty. In the Baekje period, Nakhoaam was called Tasaam(墮死巖), which means a rock from which one can fall off to die. Baemagang is also not a Baekje word because it is shown in the early literature of the Chosun Dynasty. Baemagang was called Salbigaram(白江-泗批江). The athematic form of Soburi is Sabi. After the last syllable "i"(里) was left out, Sobu(所夫 became Sabi(泗批).
목차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어체 담화와 문어체 담화의 문법 현상 비교
- <浮雪傳>의 창작연원과 소설사적 의의
- 1960년대 『창작과 비평』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 백낙청의 초기비평을 중심으로-
- 乙巳本 <츈매젼>의 特徵 考察
- 황순원의 해방직후 소설 一考 ― <목넘이 마을의 개>를 중심으로 ―
- 부여 지역의 옛 말을 찾아서
- <華山奇逢>에 나타난 ‘殺害’ 主旨의 의미
- 신경림 시의 서사성과 대화주의
- 扶餘八景의 詩的 形象
- 寺刹文獻에 나타난 創寺緣起說話의 사상적 기저
- 『어문연구』논문 투고규정 외
- 한자어 어근 ‘童, 匠, 直’의 국어 접미사화 과정
- 古代 人名語素 ‘宗’의 새김에 대하여
- 金丘庸 詩의 ‘몸’ 이미지와 불교 意識
- 의주방언과 구개음화
- 90년대 소설의 여성 정체성 구현 考 ― 여성 소설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
- 1950년대 지역 신문에 나타난 여성 담론 양상 연구 ― 영남지역 신문소설의 ‘여성주체’개념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