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浮雪傳>의 창작연원과 소설사적 의의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Origin and Novelistic Significance of Buseol-Jeon(浮雪傳)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오대혁(Dae-hyok Oh)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7집, 227~25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s the origin and novelistic significance of Buseol-Jeon by Yeong-Hae(暎虛), a monk of Son, in the 16th.
So far, most Korean researchers have regarded Buseol-Jeon as the novel reconstructed by tales about Buseol, a man lived in the Silla period. However, according to my research, Buseol was not an existent man, but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novel by Yeong-Hae. Yeong-Kwan(靈觀) and Seo-San(西山) were writer's Dharma teacher. They followed their Buddhist thought about Son(禪), Jung-toh-johng(淨土宗), and actions of the bodhisattva [菩薩行]. Yeong-Kwan wrote Buseol-Jeon based on that idea. The analysis of achievements during the writer's lifetime, his chinese poems, and narrative structure of Buseol-Jun confirmed this result.
Buseol-Jeon consists of three narrative phases: the process of reaching enlightenment in mountain, the process of the internal conflict about the action of the bodhisattva,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buddha in the mundane world. Also, Buseol-Jeon has narrative features: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a hero and two companions, the practical use of inserted poems, buddhist words, ornamental style and so on. In these narrative structures, the writer said the subject that the bodhisattva must lead the mundane community to enlightenment, not staying at an isolated space. It is to criticize contemporary buddha community which is far from the masses in the mundane world. It is the novelistic significance of Buseol-Jeon in Korean buddhist novels that fantasy of Junki(傳奇)-novel such as a ghost or the Palace of the Dragon King disappeared.
목차
1. 문제제기
2. <부설전>의 창작 연원
3. <부설전>의 서사구조와 소설사적 의의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어체 담화와 문어체 담화의 문법 현상 비교
- <浮雪傳>의 창작연원과 소설사적 의의
- 1960년대 『창작과 비평』의 현실주의 비평담론 - 백낙청의 초기비평을 중심으로-
- 乙巳本 <츈매젼>의 特徵 考察
- 황순원의 해방직후 소설 一考 ― <목넘이 마을의 개>를 중심으로 ―
- 부여 지역의 옛 말을 찾아서
- <華山奇逢>에 나타난 ‘殺害’ 主旨의 의미
- 신경림 시의 서사성과 대화주의
- 扶餘八景의 詩的 形象
- 寺刹文獻에 나타난 創寺緣起說話의 사상적 기저
- 『어문연구』논문 투고규정 외
- 한자어 어근 ‘童, 匠, 直’의 국어 접미사화 과정
- 古代 人名語素 ‘宗’의 새김에 대하여
- 金丘庸 詩의 ‘몸’ 이미지와 불교 意識
- 의주방언과 구개음화
- 90년대 소설의 여성 정체성 구현 考 ― 여성 소설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
- 1950년대 지역 신문에 나타난 여성 담론 양상 연구 ― 영남지역 신문소설의 ‘여성주체’개념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