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Teaching Mode Utilizing the Imitation and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도(Yi Sung-Do) 김혜숙(Kim Hye-Sook) 민혜자(Min Hye-Ja) 조성권(Cho Seong- Kweo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177~2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미술과 수업에서 전통미술과 관련해서 행해지고 있는 표현활동과 감상활동은
대부분 외국의 학습이론을 토대로 진행하고 있다. 이런 학습활동은 전통미술이 가지고
있는 미의식과 예술철학 또는 작품 감상에 있어 근원적이고 핵심적인 것들을 학생들에
게 이해시키는데 어려움을 준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미술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
과 미의식을 인지시키고 이해시키는 방안으로 조선시대 여항작가들이나 화원에 소속
된 작가들이 사용했던 방작(倣作)과 와유(臥遊)적 풍경감상 등을 초.중등학생들의
표현활동 및 감상활동과 연계하여 적용해보고 학생의 참여도와 학습효과가 어떻게 나
타나는가를 분석하고 진단한다. 이런 방법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자극하고 자발
적인 학습참여를 이끌어 냄으로서 미적체험을 강화하고 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영문 초록
As matter of fact, many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ve difficulties to deal with Korean traditional art activities and art
appreciation lessons. So they normally use the teaching method of what
they know which is a more likely western style of teaching mode. This
teaching mode does not fit and proper to teach korean tradition art and
do not provide right information to the students what they need to know
and understand fundamental and essential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aesthetics and characteristics.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plans based on principles, values, meanings and
symbols of Korean traditional art.
In this study, we introduce and discuss two teaching methods in
traditional way. First of all, we examine the imitating method of art
work how it affect to the students to understandings about the form,
composition, symbols and meanings what korean traditional art has.
Second, we deal with a kind of art appreciation method using the
landscape paintings how it help to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art
works affectively. The findings and implication of methods are provided
along with students work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방(倣)이 지닌 의미와 교수ㆍ학습방법
Ⅲ. 와유(臥遊)가 지닌 의미와 교수ㆍ학습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가적 역할
- 전통미술에 있어 방(倣)을 통한 그리기와 와유(臥遊)적감상방법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안 탐색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 모작을 통한 백제관음의 조형성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잘라낸 종이판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어린이 미술 감상학습의 의미와 특질에 관한 기초적 고찰
-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 중등미술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우리말색이름 사전」ㆍ「한국의 전통색」제1집의 고찰과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초등학교 3~6학년 생활색채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단계에서의 시각교육의 중요성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초등 미술과 표현 지도방법 연구
-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