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fessional Role of Art Teachers in Teaching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아(Kim Sun-Ah)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65~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현재 교육 전 분야에서 흔히 거론되고 ‘창의성’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사회
적, 문화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창의성이 과연 어떻게 가르쳐질 수 있는가
의 문제를 다양한 문헌을 토대로 탐구하였다. 대중매체나 모더니즘 속에서 정형화된
천재의 모습이나 타고난 재능으로서의 창의성이 아닌 개인의 사회적 경험과 환경을 통
하여 형성 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창의성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의 계발을 위하여
미술교사에게 요구되어지는 전문가적 역할에 관하여 논하였다. 또한 교사-학습자 간
의 상호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창의적인 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바람직한 교사
의 언어적 의사소통의 특성과 중요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거 미술교
육에 있어서 교사의 비중을 축소하고 아동의 자아표현에 치중한 창의성의 개념에서 벗
어나, 현재에 요구되어지는 창의적 사고력을 교육할 수 있는 미술교사의 전문가적 역
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reativity’ is an ambiguous term because it has many different
meanings and is heard in many different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creativity’ is mystified as we have been told heroic legends and eccentric
lives of genius. The stereotypic images of genius mystify the notion of
creativity, separating from mundane everyday experiences. Therefore, we
need to shift our attention from‘the artists' to our individual students
and ourselves in order to explore the expanded notion of creativity. The
search for meanings of creativity has led us to ask; who has creativity,
what aids or hinders creativity in children and what makes an individual
fully exert the creative ability or dissert it. Based on these inquirie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social aspects of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nurturing creativity. If school is the place where children learn to see
their environment critically and to induce meanings and values from
their lives, educators must b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role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and to communicate in creative ways.
목차
요약
Ⅰ. 도입
Ⅱ. 창의성의 사회성
Ⅲ.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가적 역할
- 전통미술에 있어 방(倣)을 통한 그리기와 와유(臥遊)적감상방법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안 탐색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 모작을 통한 백제관음의 조형성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잘라낸 종이판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어린이 미술 감상학습의 의미와 특질에 관한 기초적 고찰
-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 중등미술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우리말색이름 사전」ㆍ「한국의 전통색」제1집의 고찰과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초등학교 3~6학년 생활색채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단계에서의 시각교육의 중요성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초등 미술과 표현 지도방법 연구
-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