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undamental Examination Based on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Arts Apprecia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향미(Kim Hyang-Mi)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125~1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어린이들의 진정한 미술 감상학습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 측면에서 그 근본적 재고를 시도하였다. 즉, 감상활동의 의미와 특질,
미술 감상활동이 학습으로서 자리 매김 되기 위한 학습의 제 측면, 나아가 그것들을
학습의 모델로서 활용해 나가기 위한 구체화로의 방향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
다. 이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 감상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사견과 논지를 정리하면, 현
재 행해지고 있는 감상학습은 보다 넓은 의미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귀착된
다. 즉 어린이들이 외계의 사물과 관계를 맺는 경험 속에 감상활동이 존재하고 그것이
학습으로서 의미를 지니게 될 때 비로소 진정한 감상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는 사고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어린이들의 내면세계는 표면적으로 확인하기 힘든 것이
지만 그들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 내면을 가치로운 것으로서 바라보려는 노력이야말로
미술 감상학습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커다란 과제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fundamentally review about what the tru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was from the following standpoints: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 and targets, the characteristic of fine arts appreciation
activities, and the view for fine arts appreciation activities to settle down
and embody as a learning model.
Based on these, the basic thoughts and arguments for the appreciation
leaning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appreciation leaning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wider view, and it is also to spread the learning
viewpoint. That is, we should have a thought that the true appreciation
education cannot exist until children contact with and experience
external things at hand. Secondly, although it is difficulty for us to grasp
the internal world of children visually, we should recognize that their
inside deserves to be noted. These are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be
considered in the appreciation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감상활동의 의미
Ⅲ. 감상활동의 특질
Ⅳ. 감상학습의 제 측면
Ⅴ. 감상학습의 방법론적 접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가적 역할
- 전통미술에 있어 방(倣)을 통한 그리기와 와유(臥遊)적감상방법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안 탐색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 모작을 통한 백제관음의 조형성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잘라낸 종이판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어린이 미술 감상학습의 의미와 특질에 관한 기초적 고찰
-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 중등미술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우리말색이름 사전」ㆍ「한국의 전통색」제1집의 고찰과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초등학교 3~6학년 생활색채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단계에서의 시각교육의 중요성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초등 미술과 표현 지도방법 연구
-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