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Importance of Visual Education at Youth Stag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현경(Shin Hyun-Kyo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45~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단계에서의 시각 교육의 중요성을 논하고 좌뇌 훈련 중심
의 현 교육환경체계로 인한 인간성 말살을 비판하면서 기초 교과로서 우뇌 훈련 중심
의 시각 교육을 제안하는데 있다. 시각교육이란 자기 표현을 통한 감성 훈련을 말하며
이는 미술교육이 담당하여야 한다. 이러한 논의의 토대 위에서 현행 미술 교육의 문제
점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성장단계에 맞춘 시각 교육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시각 교육
은 미술의 새로운 기초(New Art Basics)로서 기존의 미술, 미술교육과는 다른 개념
으로 미술의 기능을 확대하여 자기 표현, 창의성, 감수성을 개발하는 자기 치유적 과
정으로서의 미술을 제안한다. 이의 구체적 사례로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자기 표현
워크샵: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 여행’을 들어 소개 하였다. 시각교육은 결론적으로 청
소년들에게 자신을 알고, 남을 이해하게 하며 서로를 소통하게 하는 체험으로서 역할
을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visual education in teen
education. It criticizes the destructive effects on human nature caused by
the current left-brain centered education system,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s role in visual education, as well as
sensitivity-training through self-expression. Thu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rt education system are analyzed, and ‘Visual Education based
on Right-Brain Training’ is suggested as a solution.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customized visu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levels of the teenagers. Visual art education,
as a New Art Basics, expands the function of art and suggests a selfcuring
process that develops self-expression, creativity, and sensibility.
Two examples, ‘Self-Expression Workshop: the Art Journey to Find the
Self’ and ‘Drawing with the Right Brain,’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본론²)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가적 역할
- 전통미술에 있어 방(倣)을 통한 그리기와 와유(臥遊)적감상방법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안 탐색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 모작을 통한 백제관음의 조형성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잘라낸 종이판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어린이 미술 감상학습의 의미와 특질에 관한 기초적 고찰
-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 중등미술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우리말색이름 사전」ㆍ「한국의 전통색」제1집의 고찰과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초등학교 3~6학년 생활색채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단계에서의 시각교육의 중요성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초등 미술과 표현 지도방법 연구
-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