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 Finding Survey of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Arts-Centered on the Operational Cases of Classes of the Gift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선(Kim Hye-Seo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3호, 81~1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 영재교육은 미술 분야에서 특수한 재능을 보이는 영재의 선천적인 잠재력을
단기간에 이끌어내어 개인적 자아실현은 물론 21세기가 요구하는 능동적이고 생산적
인 전문 미술인을 양성하기 위해 시행 되었다. 하지만 그러한 미술영재교육의 중요성
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2003년부터 1-2개의 초.중등 미술영재학급이 예술고등
학교를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인이 재직
하고 있는 예술고등학교의 초.중등 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와 영재수업에 참가한 학
생의 특성 및 결과물 분석을 통해서 미술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고등학교에서 운영하는 초.중등 미술 영재학급 운영
실태 및 교육현황을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며 분석하고 미술 영재 선발방법 및 교수학
습 프로그램과 수업의 결과물 분석, 영재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수료 후 관리 등을 통
해 영재 미술학급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arts draws out the potential
energy of the gifted children who has special talent in the field of arts.
And, it is considered as it needs to do personal self realization and, in
addition, foster the high-class manpower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But, for all the important of this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recently 1~2 classes for the gifted children in arts in Korea are operated
centered on the high school of arts.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arts throug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the gifted children and the
work analysis centered on the operational cases in the class for the
talent children in arts in the high school of arts where I serve now. To
accomplish i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status and
present situation of education in curriculum for the talent children in
arts that the high school of arts operates now, and compare with the
cases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it is to suggest the problems in
operating the arts classroom for the talent children through the selecting
method of the talent children in arts, the analysis of result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lecture, and the follow up control for the
students who experience the class for the talent childre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 영재 교육과정 운영실태 조사
Ⅲ. 미술 영재수업의 실태 분석
Ⅳ. 미술 영재수업의 결과물 분석
Ⅴ. 미술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가적 역할
- 전통미술에 있어 방(倣)을 통한 그리기와 와유(臥遊)적감상방법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안 탐색
-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 모작을 통한 백제관음의 조형성 연구
- 초등미술교육에서 ‘잘라낸 종이판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어린이 미술 감상학습의 의미와 특질에 관한 기초적 고찰
-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 중등미술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
-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우리말색이름 사전」ㆍ「한국의 전통색」제1집의 고찰과 교육적 활용 방안 모색-초등학교 3~6학년 생활색채 교육방안을 중심으로-
-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미술 영재학급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단계에서의 시각교육의 중요성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초등 미술과 표현 지도방법 연구
-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