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성인교육 동향과 시사점: 개념과 성격을 중심으로
이용수 464
- 영문명
- The Tendency and Suggestions of Adult Education in America: Focusing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주동범(Ju Dong-Beom)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199~21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국의 성인교육을 중심으로 성인교육의 의미, 포스트모던과 성인 교육간의 관계, 성인교육의 경향성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성인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미국 성인교육의 의미는 4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고, 성인교육의 흐름 및 경향성은 7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그리고 미국의 성인교육은 조직이나 기관의 활동, 성인들을 위한 사회 및 평생교육의 범위를 넘어서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성인교육의 의미는 주로 그 기능과 목표에 의해 정의되고 있고, 성인교육의 주요 흐름은 참여적 성인교육과 비판적 성인교육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성인교육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시사점 및 방향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dult education, and the tendency of adult education with American adult education in the cent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in America can be divided in four meanings, and the tendency of it can be divided into seven tendencies. And, American adult education is regarded as a systematic discipline beyond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and social and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at America tries to define adult education based on its function and goals, and the main tendency of adult education is participatory and critical adult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Korean adult education in the future have been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성인교육 의미의 유형
Ⅲ. 포스트모던과 성인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 교육업적 평가제도: 한 미 2개 사례 대학 비교
- 미국의 성인교육 동향과 시사점: 개념과 성격을 중심으로
-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국제적 보급이 한국 평생교육에 미친 영향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독일대학교의 노인교육모델에 대한 고찰: 독일 사례분석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주 한인의 민족교육관 연구
- 미국 초·중등교육개혁법 고찰 - ‘No Child Left Behind Act’를 중심으로 -
- 교사평가의 쟁점: 평가주체 논쟁에 관한 외국 사례의 시사점
- 호주, 뉴질랜드와 미국의 교원 자격 기준 동향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대학평가체제 비교 고찰
- 한·중 초기서원 교육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