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 초기서원 교육 비교
이용수 381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arly Stage of Seowon Edu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정낙찬(Jung Nak-Chan) 김홍화(Jin Hong-Hua)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중 초기서원의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데 있었다. 그 결과 첫째, 교육목적의 공통점은 모두 법성현(法聖賢)을 일차적인 교육목적으로 하였으며 현실에 부응하기 위한 과거준비를 부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는 점이며. 차이점은 한국의 서원원규는 백록동학규를 모범으로 하였지만 그 운영과 실천방법에 있어서 독자적이었다는 점이다. 둘째, 교육내용의 공통점은 성리학을 근본 교육내용으로 했으며 사장학보다도 경학을 우선시하였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필수교과에 있어 한국의 모든 서원에서는 소학과 사서오경을 필수과목으로 다루었고, 중국의 서원에서는 역경과 사서를 필수 과목으로 다루었다는 점이다. 셋째, 교육방법의 공통점은 모두 강회식, 문답식, 토론식, 자습위주 등 다양한 교육방법이 다루어졌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한국 초기서원은 강학활동을 서원내에서 벌린 반면 중국 초기 서원의 강학활동은 서원내 뿐만 아니라 점차 서원의 범위를 초월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교육평가의 공통점은 서원에서 다루어지는 평가는 모두 관학에서 기원했다는 점이다. 차이점이라면 한국 초기서원에서는 출석평가와 학업평가로 학생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으며 중국 초기서원에서는 출석평가는 없고 시험의 형식으로 학업평가와 덕업평가를 진행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early Seowon edu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ims of education were to primarily become a good scholar and to secondarily prepare for the state examination. Based on Zu Hi(주희)‘s Balk-Dong education rule(백록동학규), the rules were made. The difference was the administration and practice: the early Seowon in Korea was independent.
Second, Seong-Ri-Hak was the basic contents of education as Kyong-hak(경학) was more emphasized than Sazanghak(사장학). The difference was the required subjects, which they were Sohak(소학) and Saseo-Ogyeong(사서오경) in Korea while Yeok-kyeong(역경) and Saseo(사서) in China.
Third, varied methods such as lecture(강회), question-and-answer, discussion, self-study were used. The difference was tha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done within Seowon in Korea, while within Seowon as well as outside of Seowon in China.
Fourth, in the case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 the early Sewowons in both countries made use of methods used in Gwan-Hak. The difference was that attendance and achievement were assessed in Korea, while achievement through examination was implemented without attendance in Chin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교육목적
Ⅲ. 교육내용
Ⅳ. 교육방법
Ⅴ. 교육평가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 교육업적 평가제도: 한 미 2개 사례 대학 비교
- 미국의 성인교육 동향과 시사점: 개념과 성격을 중심으로
-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국제적 보급이 한국 평생교육에 미친 영향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독일대학교의 노인교육모델에 대한 고찰: 독일 사례분석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주 한인의 민족교육관 연구
- 미국 초·중등교육개혁법 고찰 - ‘No Child Left Behind Act’를 중심으로 -
- 교사평가의 쟁점: 평가주체 논쟁에 관한 외국 사례의 시사점
- 호주, 뉴질랜드와 미국의 교원 자격 기준 동향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대학평가체제 비교 고찰
- 한·중 초기서원 교육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