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주 한인의 민족교육관 연구
이용수 182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Americans' Views on Ethn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근(Kim Kyung-keu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29~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주 한인의 민족교육관을 분석하였다. 미주 한인사회에서 학부모들은 주로 자녀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그들을 한글학교에 보내지만, 자녀들은 단순히 실제적 목적에서 한국어를 습득하기 위해 한글학교에 다니는 경향이 있었다. 대체로 자녀들은 학부모들에 비해 민족의식 또는 민족정체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나 민족교육의 실태에 대한 문제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했다. 미주 한인 차세대의 민족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자녀 모두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한국 방문 기회의 확대가 우선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미주 한인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태도에는 다소의 이중성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한국어와 현지어에 모두 능통하게 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모국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시각을 자주 드러내면서도 자녀들이 자신의 뿌리를 잊지 말기를 기대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the Korean-Americans' views on ethnic education for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It has found that the Korean parents send their children to Korean language schools in order to make them understand their ethnic background, whereas their children tend to attend the schools simply to learn Korean language for practical purposes. By and large, these Korean youngsters pay les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ir ethnic background or ethnic identity and are less critical about the current state of ethnic education than their parents. A top priority should be given to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young Korean-Americans to visit Korea to raise awareness about their roots, as agreed upon by parents and children. In the meantime, Korean parents appear to take ambivalent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For example, when it comes to language education, they want their children to be a fluent speaker of both English and Korean. When grown up,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be a member of the mainstream American society,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are afraid that their children assimilate into the American society too much and forget their roo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재미한인의 민족교육관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 교육업적 평가제도: 한 미 2개 사례 대학 비교
- 미국의 성인교육 동향과 시사점: 개념과 성격을 중심으로
-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국제적 보급이 한국 평생교육에 미친 영향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독일대학교의 노인교육모델에 대한 고찰: 독일 사례분석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주 한인의 민족교육관 연구
- 미국 초·중등교육개혁법 고찰 - ‘No Child Left Behind Act’를 중심으로 -
- 교사평가의 쟁점: 평가주체 논쟁에 관한 외국 사례의 시사점
- 호주, 뉴질랜드와 미국의 교원 자격 기준 동향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대학평가체제 비교 고찰
- 한·중 초기서원 교육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