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공보안 종사자의 대테러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3

영문명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nhancement of Counter-Terrorism Response Capabilities among Aviation Security Personnel
발행기관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저자명
신소영 채정석
간행물 정보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84호, 369~39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항공 분야는 개방성과 국제적 연결성으로 인해 테러리즘의 주요 표적이 되어 왔으며, 공항에서 발생하는 테러는 단순한 인명・재산 피해를 넘어 국가 이미지와 국제적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함으로써 국가안보와 항공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공보안 종사자의 대테러 대응역량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여, 기존 연구가 제도・정책적 논의에 치중한 반면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 요인과 단계별 차이를 검증한 사례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보안 종사자의 대테러 활동을 예방・대비의 사전활동과 대응・복구의 사후활동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영향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전활동에서는 테러리즘 인식, 물리적 보안, 조직역량, 유관기관 협력이, 사후활동에 서는 교육훈련, 조직역량, 유관기관 협력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교육훈련은 사후활동에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 실제 대응역량 강화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은 항공보안 현장의 특수성을 반영한 단계별 위기관리 매뉴얼 마련과 함께, 체계적 교육・훈련의 정례화와 유관기관 협력체계의 제도적 강화가 종사자의 대응역량 제고와 국가 항공보안체계의 신뢰성 확보에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aviation sector, with its openness and international interconnectedness, has long been a primary target of terrorism, and incidents occurring at airports not only cause human and material losses but also undermine national reputation and international trust. Nevertheless, empirical research on the counter-terrorism response capabilities of aviation security personnel remains limited. To address this gap, the present study categorizes counter-terrorism activities into proactive measures of prevention and preparedness and reactive measures of response and recovery, and examines whether factors highlighted in prior studies operate consistently across these phase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in the proactive phase, terrorism awareness, physical security measures, organizational capacity, and inter-agency collaboration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while in the reactive phase, training, organizational capacity, and inter-agency collaboration emerge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particular, training demonstrates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in the reactive phase, underscoring its essential role in enhancing personnel readiness during actual incid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phase-specific crisis management manuals tailored to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viation security personnel, together with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and strengthened inter-agency coordination to reinforce counter-terrorism response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소영,채정석. (2025).항공보안 종사자의 대테러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시큐리티연구, (), 369-392

MLA

신소영,채정석. "항공보안 종사자의 대테러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시큐리티연구, (2025): 369-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