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불법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관리 체계 구축
이용수 9
- 영문명
 - Security Improvement Measures to Prevent Illegal Leakage of Media Video Content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함상욱 김은정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84호, 257~2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보안 체계는 불법 유통에 관련된 기술적인 보호 조치에 치중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불법 유통의 사전 단계인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불법 유출 실정을 파악하고, 불법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 방향으로 인적 관리와 물리적 보안의 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불법 유출은 내⋅외부 관계자에 대한 인적 관리의 미비와 물리적 보안의 취약성에 따른 현장 대응의 공백을 주요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실정을 기반으로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보안은 인적 관리 강화 차원에서 내⋅외부 관계자의 통제와 보안 교육이 체계화되어야 하고, 물리적 보안 강화 차원에서 현장 매뉴얼의 표준화와 물리보안 장비 인증의 제도화로 개선되어야 하겠다.
향후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보안은 기술적인 측면을 넘어서 융합형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인적 관리와 물리적 보안에 관한 제도적 개선을 통해 보안 관리체계를 고도화해야 한다. 아울러 K-콘텐츠의 성과에 상응하는 실효성을 갖춘 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함으로써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불법 유출 방지에 필요한 예방 조치를 견고히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domestic security system for media video content focuses on digital security to protect against illegal distribu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illegal leakage, mainly in the film industry, and proposed security improvement measures to prevent illegal leakage before illegal distribution of media video content.
Security for media video content has been compromised by inadequate human resource management, leading to illegal leaks by internal and external personnel, and vulnerabilities in physical security have caused crises in on-site responses. Based on this situation, security improvements for media video content should be systematized through strengthene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luding control of internal and external personnel and security education, and through enhanced physical security, including standardization of on-site manual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hysical security equipment certification.
To transition from a digital technology-centric approach to a systematic, integrated security framework that combines human and physical elements, the security system must be enhanced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hysical security. The security of media video content must be strengthened to enhance on-site response capabilities and effectiveness in preventing illegal lea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불법 유출
	                       
	                          Ⅴ.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보안 관리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중심보안의 개념적 고찰
 - 물리보안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불법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관리 체계 구축
 - 제도분석틀 수정모형(IAD)을 적용한 의과대학 증원 갈등 사례분석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 완화와 심리적 웰빙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호⋅경비 활성화 방안에 관한 경찰⋅경호공무원의 인식 연구
 - 경정 계급정년제도에 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령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근 글로벌 군집 드론 복합테러 양상 연구: 우크라이나⋅러시아, 중동지역 드론 전쟁 및 테러사건을 중심으로
 - 전직 대통령 경호의 법적・제도적 고찰과 발전 방안
 - 물리보안 환경 변화에 따른 조직 내 통합보안 전략의 적용
 - 항공보안 종사자의 대테러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산업재해와 경제지표 간의 인과관계 분석
 - 김주애 우상화와 정보통제 : 북한의 후계구도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 국내 중소기업의 인적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해외사례 벤치마킹을 중심으로
 - 경비업법상 집단민원현장 제 규정의 쟁점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