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주애 우상화와 정보통제 : 북한의 후계구도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dolization of Kim Ju-ae and Information Control: An Analysis of North Korea’s Succession Strategy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안정우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84호, 115~1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의 권력 승계 구도에서 핵심 인물로 부상한 김정은의 딸 김주애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북한 지도부는 김주애를 잠재적 후계자로 구축하기 위해 ‘우상화 캠페인’과 ‘정보통제’라는 두 가지 핵심 전략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과거 김정일, 김정은의 후계 과정과는 다른 조기 공개와 여성 후계자라는 파격적인 특징을 보이며, 차세대 권력 구도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려는 치밀한 의도를 드러낸다.
우선, 북한은 전례 없이 빠르고 강도 높은 우상화 캠페인을 통해 김주애의 정치적 위상을 단기간에 격상시키고 있다. 2022년 11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현장에 처음 등장한 이후, 군사 및 경제 분야의 주요 국가 행사에 김정은과 나란히 자리하며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특히 백두혈통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백마’를 등장시키거나 최고지도자급 인물에게만 허용되던 ‘존귀하신’, ‘존경하는’ 등의 호칭을 부여하는 등 김주애를 절대적인 권위와 연결짓는 상징 조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군사력과 과학기술이라는 체제 정통성의 핵심 기반을 차기 후계자에게 자연스럽게 이전하려는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우상화 작업의 이면에는 이를 뒷받침하고 보호하는 강력한 정보통제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다. 북한은 ‘주애’라는 이름을 가진 주민에게 개명을 강요하는 등 사전적인 인식 관리부터 시작하여, 국가보위성과 사회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촘촘한 감시망을 통해 내부 불만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가부장적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여성 후계자에 대한 거부감이나 극심한 경제난과 대비되는 김주애의 화려한 모습에 대한 반감을 억제하는 것이 핵심이다. 동시에, 일반 주민의 인터넷 접근을 완전히 차단하고 ‘광명망’이라는 자체 인트라넷만을 허용하는 ‘디지털 철옹성’을 구축하여 외부 정보 유입으로 인한 내부 ‘오염’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김주애를 중심으로 한 북한의 후계 구도 구축은 우상화라는 창과 정보통제라는 방패가 결합된 통합적 전략이다. 특히 과거와 달리 매우 공개적인 방식으로 후계 수업을 진행하는 것은 김정은 자신이 겪었던 급작스러운 승계 과정의 불안정성을 반복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처럼 파격적인 전략이 가능한 근본적인 이유는 외부 세계와 완전히 단절된 채 내부 여론을 완벽히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기반한다. 따라서 김주애는 이미 유력한 후계자로서의 단계를 밟고 있으며, 향후 그녀에게 당・정・군의 공식 직책이 부여되는지 여부가 4대 세습을 확정 짓는 결정적 지표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Kim Ju-ae phenomenon,” centered on the daughter of Kim Jong Un, who has emerged as a key figure in North Korea’s power succession structure. The North Korean leadership is employing a meticulously integrated strategy that combines a public idolization campaign with stringent information control to establish Kim Ju-ae as a potential successor. This approach is marked by unconven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her early public debut and the possibility of a female heir, which differ from the succession processes of Kim Jong Il and Kim Jong Un, revealing a calculated intent to secure a stable transition to the next generation of power.
First, North Korea is elevating Kim Ju-ae’s political status in a short period through an idolization campaign of unprecedented speed and intensity. Since her first appearance at an ICBM launch site in November 2022, she has built a public presence by appearing alongside Kim Jong Un at major state events in military and economic sectors. The regime actively utilizes symbolic manipulation to connect her with absolute authority, such as featuring the “white horse”—a symbol of the Paektu bloodline’s legitimacy—and bestowing upon her honorifics like “Respected” and “Venerated,” which were previously reserved for the supreme leader. This is interpreted as a strategic move to seamlessly transfer the core legitimacy of the regime, founded on military power and scientific achievement, to the next heir.
Behind this idolization effort is a powerful information control system that supports and protects it. North Korea begins with preemptive perception management, such as forcing citizens with the same name as “Ju-ae” to change it, and suppresses dissent through a tight surveillance network centered around the Ministry of State Security and the Ministry of Social Security. A key objective is to quell internal resistance, including aversion to a female leader in a patriarchal society and resentment over her lavish portrayal, which contrasts sharply with the nation’s economic hardships. Concurrently, the regime has built a “digital fortress” by completely blocking public internet access and allowing only its state-controlled intranet, the “Kwangmyong.” This thoroughly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the internal narrative being “contaminated” by the influx of foreign information.
In conclusion, North Korea’s succession strategy centered on Kim Ju-ae is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mbines the “spear” of idolization with the “shield” of information control. The decision to conduct her succession training in such a public manner, unlike in the past, is seen as a strategic choice to minimize the uncertainties that Kim Jong Un himself faced during his own abrupt rise to power. This unconventional strategy is fundamentally enabled by the regime’s confidence in its ability to perfectly control the domestic narrative in complete isolation from the outside world.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Kim Ju-ae is already a prominent heir undergoing succession training, and whether she is appointed to official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positions will be the decisive indicator confirming the fourth-generation succ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후계자 만들기 : 김주애 우상화 캠페인
Ⅳ. 북한 대내 정보통제
Ⅴ. 철옹성의 디지털 장벽: 외부정보 흐름 통제
Ⅵ. 후계 구도와 체제 안정성에 대한 함의
Ⅶ.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중심보안의 개념적 고찰
- 물리보안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불법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관리 체계 구축
- 제도분석틀 수정모형(IAD)을 적용한 의과대학 증원 갈등 사례분석
-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 완화와 심리적 웰빙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호⋅경비 활성화 방안에 관한 경찰⋅경호공무원의 인식 연구
- 경정 계급정년제도에 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령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근 글로벌 군집 드론 복합테러 양상 연구: 우크라이나⋅러시아, 중동지역 드론 전쟁 및 테러사건을 중심으로
- 전직 대통령 경호의 법적・제도적 고찰과 발전 방안
- 물리보안 환경 변화에 따른 조직 내 통합보안 전략의 적용
- 항공보안 종사자의 대테러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 산업재해와 경제지표 간의 인과관계 분석
- 김주애 우상화와 정보통제 : 북한의 후계구도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 국내 중소기업의 인적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해외사례 벤치마킹을 중심으로
- 경비업법상 집단민원현장 제 규정의 쟁점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中国学术界对韩国非物质文化遗产保护的研究
- Integration of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Positioning, Breakthroughs and Value
- Research on Pathways and Mechanisms for Al-Empowered Cultural Tourism Micro-Dramas in the Digital Intelligence Er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