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홍가(紅歌)의 사회적 위상과 음악 교육적 활용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ocial status of Chinese Red Songs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Xie Jin Zhang Wei Che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5호, 131~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화의 과정에서 중국 사회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황금만능주의, 도덕적 가치의 상실, 이기주의와 개인주의 팽배, 향락주의 등에 의한 폐해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은 각계각층에서 이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일환으로, 중국의 홍가가 음악 및 음악 교육 분야에서 제시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그 가능성과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문헌 연구 및 초중등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의 변혁기에 국민들의 정신을 고양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주었던 이 노래들은 여전히 사회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학교 안에서도 비중 있게 가르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설문조사를 통해 홍가의 사회적 가치, 음악적 활용 등을 살펴 본 결과, 이 노래들이 사회가 개방되고 발전하면서 만연해진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적 도구로 인식되고 있었다. 다만, 수업 방법의 개선, 홍가에 대한 인식 개선, 음악 교과서 내에 충분한 수의 제재곡 확보, 학습한 홍가의 생활 속 연계 등의 방법적 탐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Chinese society, the evils caused by golden universalism, loss of moral value, the spread of selfishness and individualism, and pleasureism are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are seeking ways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As part of this study, we thought that China's Red Song was one of the ways to suggest in the field of music and music education, and conducted literature and field research to explore its possibilities and application pla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se songs, which raised the spirit of the people and gave them emotional stability during the transformation period of China, can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ety and are taught heavily in schools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ocial value and musical use of Red Songs through a survey, we learned that these songs can be educational tools that can help solve the problems that have become prevalent as society opens and develops, such as individualism, selfishness, loss of moral value, and materialism.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lore methods such as improving teaching methods, improving awareness of Red Songs, securing a sufficient number of material songs in music textbooks, and linking learned Red Songs to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음악 감상 교육 방법
- 공감 교육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 설계
- 생태 음악 수업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생태 감수성 측정 문항 개발과 적용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정도서 개발 사례 분석–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중고 음악과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 음악교사의 합창 악보 연구에 대한 인식 연구
- ‘Meter’의 한글 표기에 관한 논의-국내외 음악이론서를 중심으로-
- 중국 홍가(紅歌)의 사회적 위상과 음악 교육적 활용
- 정서행동장애 청소년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음악의 치료적 활용
- 음악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에 대한 조사 연구- ‘음악교육공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의 책임 있는 활용을 위한 연구윤리 지침: 문헌 고찰을 통한 음악교육 연구 수행에의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