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정도서 개발 사례 분석–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중고 음악과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nge in Education Paradigm- Focusing on music textbooks of special middle and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조대현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65호, 7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중고 음악과 교과용 도서의 특징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2022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주요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배경 아래 개발된 새로운 음악과 교과용 도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22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사항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나타났고, 이를 유도하기 위한 외형 및 편집 체계, 주제와 단원 구성 등 여러 영역에서의 새로운 시도가 발견되었다. 대표적인 내용으로는 구성주의 이론의 적용,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읽어주고 들려주는 교과서’의 개발, ‘이유 있는 반복 학습 환경’의 구축과 교수자의 음악 교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와 전자저작물의 다양한 자료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교육 현장에서의 구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새로운 교과용 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이해와 실행하고자 하는 노력이 강조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and curriculum 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To this end, the background and main contents of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were first considered, and new music and curriculum books developed under this background were analyzed. As a result, self-directed learning of learners appeared as a key point of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and new attempts were found in various areas such as appearance and editing system, subject and unit composition to induce this. Representative contents include the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theory,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at read and listen'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learners,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repeti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for teachers' guides and electronic works to cultivate the teacher's music teaching capabilities. In conclusion, as a prerequisite for implement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understanding and efforts of field teachers to implement new textbooks are emphasized.
목차
Ⅰ. 서론
Ⅱ. 2022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및 주요 내용
Ⅲ.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특수학교 중고 음악과 교과용 도서 분석
Ⅳ. 결론: 새로운 음악과 교과용 도서의 의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음악 감상 교육 방법
- 공감 교육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 설계
- 생태 음악 수업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생태 감수성 측정 문항 개발과 적용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정도서 개발 사례 분석–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중고 음악과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 음악교사의 합창 악보 연구에 대한 인식 연구
- ‘Meter’의 한글 표기에 관한 논의-국내외 음악이론서를 중심으로-
- 중국 홍가(紅歌)의 사회적 위상과 음악 교육적 활용
- 정서행동장애 청소년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음악의 치료적 활용
- 음악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에 대한 조사 연구- ‘음악교육공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의 책임 있는 활용을 위한 연구윤리 지침: 문헌 고찰을 통한 음악교육 연구 수행에의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