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공간 재현 연구-영화 <벌새> 속 여성 공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Spatial Representation in 1990s Korean Society-Focusing on Female Spaces in House of Hummingbird
발행기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저자명
윤장호
간행물 정보
『영상기술연구』제48호, 181~20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House of Hummingbird presents a coming-of-age story set in 1990s Korea, using space not merely as background but as an active agent in visualizing inner emotion and social discourse. Through the lenses of Laura Mulvey’s “male gaze,” Gilles Deleuze’s “affect,” and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the film’s environments—ome, school, playground, city, and the Seongsu Bridge collapse site—reveal the interplay of oppression, affect, and transformation. The film subverts the dominant male gaze by aligning with Eunhee’s feminine perspective, foregrounding solidarity among female characters and reclaiming visual agency. Through affective imagery—silences, micro-expressions, and atmospheric details—the film evokes deep emotional resonance beyond language, positioning space as a container and transmitter of affect. Ultimately, House of Hummingbird shows how space reflects and reshapes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 Eunhee’s navigation of each environment marks her internal growth and signals how spatial reappropriation becomes a form of resistance and renewal. The film becomes a contemplative feminist text that affirms the political power of personal memory and lived spac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장호. (2025).1990년대 한국 사회의 공간 재현 연구-영화 <벌새> 속 여성 공간을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 181-204

MLA

윤장호.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공간 재현 연구-영화 <벌새> 속 여성 공간을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2025): 181-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