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나모픽을 활용한 시기능 훈련법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amorphic Techniques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박영우 정재필 박창원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48호,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proposed digital visual function training contents with anamorphic technique and verified its technical implementation potential. Unreal Engine 5 was used to design a tunnel-type background and a sphere that moves in various speeds and directions in a flat monitor environment, and instantaneous cognition and fuselage vision training elements were reinforced by inserting numbers and Randolt rings into the object. By providing a visual stimulus that simultaneously stimulates the external and internal eye muscles,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visual functions such as static vision, fuselage vision, instantaneous vision, and response speed can be integr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visual function improvement was confirmed.
In conclusion, a new technical approach was presented in which the anamorphic technique was applied to visual function training,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game engine technology and visual function training was show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lack of phy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gulatory training mechanism, lack of personalized conditions, and limited clinical verification. In future studies, expansion research, including various subject groups, personalized training protocols, and long-term effectiveness and safety evaluation are needed, and through this, it is thought that anamorphic-based digital visual function training technology can develop into an integrated tool for visual health managemen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양안 시 기능 훈련법
Ⅲ. 연구방법 및 콘텐츠 개발
Ⅳ.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나모픽을 활용한 시기능 훈련법 연구
- AI 목소리와 OTT 콘텐츠의 사운드 미학
- 세로형 영상 콘텐츠의 디자인 레이아웃 및 시각적 정보 전달 연구-인지심리학적 평가를 통한 세로형 광고 콘텐츠 분석-
- 청각적 리듬과 몰입의 영화 사운드디자인 전략-영화 〈베이비 드라이버〉의 리듬 서사와 감정 유도 분석
- 영화 이미지에서의 존재도학-샹탈 아케르만의 <동쪽>을 중심으로
- 목표 기반 단계별 시나리오 개발 수업 모형 연구-예술고등학교 수업 사례 중심으로
- 서정적 느와르와 의례화된 폭력-<영화는 영화다>의 재현전략을 중심으로
- 다큐멘터리 영화 <수궁>에 나타난 감응적 공간 상화 전략 연구
-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공간 재현 연구-영화 <벌새> 속 여성 공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