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적 리듬과 몰입의 영화 사운드디자인 전략-영화 〈베이비 드라이버〉의 리듬 서사와 감정 유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Film Sound Design Strategies for Auditory Rhythm and Immersion-Analysis of Rhythmic Narrative and Emotional Induction in the Film "Baby Driver"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강세윤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48호, 79~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ound design strategies of Baby Driver (2017), focusing on how auditory rhythm enhances narrative construction and immersive experience. Recognized for its distinctive integration of music, sound effects, and visual editing, Baby Driver exemplifies a contemporary cinematic language where sound is no longer a supplementary element but a central narrative and sensory mechanism. Drawing on theoretical frameworks including Michel Chion’s audio-vision, Claudia Gorbman’s narrative functions of film music, and presence theory, this paper examines how rhythmic sound design shapes cognitive and emotional immersion.
Through detailed scene analysis and synchronization mapping—particularly of the "Tequila" action sequence—this research reveals how sonic rhythm orchestrates temporal structure, character identity, and spatial ten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sound design in Baby Driver functions as a core cinematic strategy, structurally aligned with plot progression and embodied perception.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potential expansion of sound design into multi-platform content such as music videos, advertising, and immersive media (VR/AR), arguing for a redefinition of sound designers as sensory narrative architects.
By addressing a research gap in existing literature, which tends to prioritize stylistic or editorial interpretation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cademic discourse on cinematic sound. Furthermore, it calls for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a reconsideration of sound design education, production workflows, and the role of auditory rhythm in shaping contemporary media experienc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사례분석: <베이비 드라이버>의 사운드디자인 전략
Ⅳ.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나모픽을 활용한 시기능 훈련법 연구
- AI 목소리와 OTT 콘텐츠의 사운드 미학
- 세로형 영상 콘텐츠의 디자인 레이아웃 및 시각적 정보 전달 연구-인지심리학적 평가를 통한 세로형 광고 콘텐츠 분석-
- 청각적 리듬과 몰입의 영화 사운드디자인 전략-영화 〈베이비 드라이버〉의 리듬 서사와 감정 유도 분석
- 영화 이미지에서의 존재도학-샹탈 아케르만의 <동쪽>을 중심으로
- 목표 기반 단계별 시나리오 개발 수업 모형 연구-예술고등학교 수업 사례 중심으로
- 서정적 느와르와 의례화된 폭력-<영화는 영화다>의 재현전략을 중심으로
- 다큐멘터리 영화 <수궁>에 나타난 감응적 공간 상화 전략 연구
-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공간 재현 연구-영화 <벌새> 속 여성 공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