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목소리와 OTT 콘텐츠의 사운드 미학
이용수 2
- 영문명
- AI Voice and Sound Aesthetics in OTT Content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최지현 이원덕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48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cinema, the voice has long served as a crucial auditory resource for constructing emotion, identity, and narrative flow. Recent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voice synthesis technologies have initiated a significant technical shift in how voices are produced, particularly within the Over-the-Top (OTT) content environment, which demands multilingual delivery and rapid production cycles.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tion of AI voice technologies— such as Text-to-Speech(TTS) and voice cloning—in film and OTT-based audiovisual content through practical production contexts and real-world case studies. By comparing major commercial platforms such as ElevenLabs, Typecast, and CLOVA Dubbing, this paper analyzes their technical architectures, emotional control capabilities, and options for custom voice configuration. Drawing on the author’s direct involvement in the sound design of the film,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s how AI voices are integrated into actual production workflows.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features such as emotional modulation and prosody control, which can enhance narrative immersion, while also acknowledging persistent limitations, including lip-sync precision and expressive nuance.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balanced assessment of both the potential and constraints of AI-generated voices as emerging cinematic resources, grounded in a practical and production-oriented perspectiv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목소리와 정체성의 재구성
Ⅲ. AI 플랫폼의 활용과 청각적 설계
Ⅳ. OTT 환경에서의 실천적 가능성과 한계
Ⅴ.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나모픽을 활용한 시기능 훈련법 연구
- AI 목소리와 OTT 콘텐츠의 사운드 미학
- 세로형 영상 콘텐츠의 디자인 레이아웃 및 시각적 정보 전달 연구-인지심리학적 평가를 통한 세로형 광고 콘텐츠 분석-
- 청각적 리듬과 몰입의 영화 사운드디자인 전략-영화 〈베이비 드라이버〉의 리듬 서사와 감정 유도 분석
- 영화 이미지에서의 존재도학-샹탈 아케르만의 <동쪽>을 중심으로
- 목표 기반 단계별 시나리오 개발 수업 모형 연구-예술고등학교 수업 사례 중심으로
- 서정적 느와르와 의례화된 폭력-<영화는 영화다>의 재현전략을 중심으로
- 다큐멘터리 영화 <수궁>에 나타난 감응적 공간 상화 전략 연구
-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공간 재현 연구-영화 <벌새> 속 여성 공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