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큐멘터리 영화 <수궁>에 나타난 감응적 공간 상화 전략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Formation Strategy of Sensitive Space in the Documentary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유수연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48호, 153~1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authentic pansori documentary "Sugung" is a place of aesthetic experimentation that explores the ethical possibilities of emotional representation beyond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art or the record of female singers. This work avoids the full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organizes the lack of visibility and narrative through the back, silence, fragmented oral statements, and subtitles on a dark screen, and delicately sensitizes the affective gap between the 'untold' and the 'untold'. This composition is read as an ethical attempt to reconstruct the function of 'evidence' in the genre of documentary and to make the subject think in the flow of becoming rather than fixing identity. In addition, the subtitles presented on the black screen act like poetic propositions and open gaps in thinking, and the narration, in which the director's low and emotional exclusion, creates new auditory sensations through a sense of distance rather than inducing the audience's emotional immersion. In this way, text and fostering, abstract and concrete, silence and resonance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create a unique rhythm of sensation, and the audience is converted from the 'viewer' to the 'sensitive one'. This goes beyond just an archaic attitude of recalling the past, and reminds us that the act of invoking the existence of non-existent things and memorizing them sensitively is an ethical practice that constitutes the futur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나모픽을 활용한 시기능 훈련법 연구
- AI 목소리와 OTT 콘텐츠의 사운드 미학
- 세로형 영상 콘텐츠의 디자인 레이아웃 및 시각적 정보 전달 연구-인지심리학적 평가를 통한 세로형 광고 콘텐츠 분석-
- 청각적 리듬과 몰입의 영화 사운드디자인 전략-영화 〈베이비 드라이버〉의 리듬 서사와 감정 유도 분석
- 영화 이미지에서의 존재도학-샹탈 아케르만의 <동쪽>을 중심으로
- 목표 기반 단계별 시나리오 개발 수업 모형 연구-예술고등학교 수업 사례 중심으로
- 서정적 느와르와 의례화된 폭력-<영화는 영화다>의 재현전략을 중심으로
- 다큐멘터리 영화 <수궁>에 나타난 감응적 공간 상화 전략 연구
-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공간 재현 연구-영화 <벌새> 속 여성 공간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